본문 바로가기
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프로그램-17) 보물찾기(Treasure Hunt) 오리엔티어링

by 어택포인트 2021. 1. 4.

1-1. 보물 찾기-1(Treasure Hunt)

 1) 활동개요

  - 보물찾기를 통해 지도와 공간이해 능력을 키우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하

 3) 장 소: 야외(학교, 공원)

 4) 준 비 물: 20개의 보물(동전, , 게임 칩, 미니어처 놀이카드 또는 비슷한 것)

 5) 사전준비:

  - 활동지역에 보물을 배치하고 지도에 표시한다.

 6) 진행요령:

  - 놀이터의 구역에는 20개의 보물이 있다.

  - 활동지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 보물의 위치가 표시되지 않은 빈 지도를 나누어준다.

  - 각 보물을 찾으면 진행자에게 돌아와 가져와야 한다.

  - 한 번에 하나씩만 수집한다.

  - 각 보물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설명해야 한다.

  - 그런 다음 가서 더 많은 보물을 찾을 수 있다.

 7) 참고사항:

  - 보물을 숨기는 장소로 약간의 관목, 몇 놀이기구 등이 있는 영역인 놀이터의 독립된 부분을 선택한다.

  - 경계와 규칙을 명확하게 설정한다. 등반, 암석 들어내기, 땅파기 등 금지

  - 지도에 보물의 위치를 표시하고 찾아오게 하는 방법도 있다.

출처: www.sa.orienteering.asn.au

 

1-2. 보물 찾기(Treasure Hunt)

 1) 활동개요

  -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지시문에 제시된 단서를 찾아 보물을 찾아가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상

 3) 장 소: 야외(공원, 식생지역)

 4) 준 비 물: 지도, 나침반, 컨트롤 표시물, 지시문, 필기도구, 보물상자

 5) 사전준비:

  - 단순한 루프 모양으로 보물찾기 코스를 설정하고 지도에 컨트롤 지점을 표시한다.

  - 설치된 컨트롤 표시물을 찾을 수 있도록 지시문에 단서를 제공한다. 지시문의 내용은 위치에 대한 정보(방향과 거리,

    특징물)를 문장, 사진, 그림, 퍼즐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참가자들의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출발지점으로부터 각 컨트롤 지점까지의 누적거리를 표기한다.

  - 각 컨트롤 표시물에는 보물상자의 위치와 잠금장치 번호에 대한 단서를 명시한다.

 6) 진행요령:

  - 참가자들을 2명 이상의 팀으로 구성한다.

  - 활동의 목적과 개요, 방법, 활동범위 등을 설명한다.

  - 나침반과 지도 사용법을 간단히 설명하고 참가자들이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오리엔티어링 코스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지시문에 제시된 단서를 따라 찾아가는 것이라고 설명한 다음, 팀별로

    시차를 두고 출발시킨다.

  - 집결지에서 출발지점까지는 방위와 보측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50미터 전방에 배치하고, 코스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참가자들은 가능한 한 빨리 단서가 있는 컨트롤 표시물을 찾아야 한다.

  - 각 컨트롤 표시물에는 보물이 숨겨져 있는 위치와 보물상자를 열 수 있는 단서를 퍼즐을 통해 제시한다.

  - 참가자들은 가능한 빨리 보물상자를 찾아서 보물을 꺼내는 것이 미션이다.

  - 보물의 내용은 간식이나 기념품 등이 적당하다.

 7) 참고사항:

  - 참가자들의 체력 수준과 능력에 적합하도록 코스가 설계되어야 하며, 단순한 루프 모양으로 분명한 길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참가인원이 많을 경우 2~3 개의 코스를 설정하여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코스가 반드시 길 필요는 없다. 팀이 다른

    경우 다른 색상의 표시물을 사용하여 어떤 팀에 대한 단서가 있는지 지정한다.

  - 단순한 보물찾기는 물론 팀워크, 역사, 생태, 문화 등 다양한 주제와 연계해서 적용할 수 있다.

  - 상설 코스를 위한 컨트롤 표시물의 위치와 형태는 가능한 한 신중하게 계획해야한다.

 

<보물지도 및 지시문 예시>

출처: Designing of Tresure Hunt Activity(Institute for Outdoor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