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프로그램-19) 라인 오리엔티어링(Line Orienteering)

by 어택포인트 2021. 1. 4.

1. 라인 오리엔티어링-1(Line orienteering)

 1) 활동개요

  - 지도를 이해하고 지도 방향을 유지하는 연습을 위한 활동

 2) 대 상: Green standard

 3) 장 소: 실내 강당

 4) 준 비 물: 지도, 컨트롤 플랙, , 매트 및 벤치와 같은 지형을 상징하는 물체

 5) 사전준비:

  - 기본지도를 그린다. 예를 들어 벽시계와 같은 분명한 특징을 그려 참가자생들이 지도의 방향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 다른 코스에서 그린다. 다른 코스마다 다른 색상을 사용한다.

  - 각 코스가 홀의 다른 구석에서 시작하도록 한다. 각 참가자는 하나의 지도를 가진다.

 6) 진행요령:

  - 지도와 일치하도록 참가자들의 도움을 받아 "지형"을 조성한다.

  - 선을 따라 컨트롤 플랙을 배치하고, 플랙이 작을수록 실행이 더 어려워진다.

  - 참가자들이 시간이 있는 만큼 많은 코스를 수행하게 한다.

  - 도착지점에 도달하면 지도에서 컨트롤이 어디에 있었는지 지적해야 한다.

 7) 참고사항:

  - 빈 지도를 만들어 참가자들이 자신이 따라갈 선을 그릴 수 있도록 한다.

  -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컨트롤을 설정한 다음 서로 다른 지도에 그려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라인 오리엔티어링 실내용 지도>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

 

2. 라인 오리엔티어링-2(Line orienteering)

 1) 활동개요

  - 지도를 이해하고 지도 방향잡기를 연습하기 위한 활동

 2) 대 상: Green standard

 3) 장 소: 야외(학교, 공원)

 4) 준 비 물: 지도, 컨트롤 플랙(: 다른지도 기호가 있는 작은 컨트롤 플랙). 컨트롤 카드, 마스터 컨트롤 카드

 5) 사전준비:

  - 각 코스마다 라인이 있는 3-5개의 다른 코스를 만든다.

  - 참가자별 하나의 지도와 몇 가지 여분 지도를 준비한다.

  - 학교 운동장 주변으로 선이 지나가는 여러 가지 분명한 특징물에 컨트롤 플랙을 설치한다.

  - 정답 확인을 위해 마스터 컨트롤 카드를 만든다.

 6) 진행요령:

  - 참가자들에게 지도와 컨트롤 카드를 나눠준다.

  - 지도 방향을 잡은 후 참가자들을 내보낸다.

  - 정보는 그들이 가는 길에 컨트롤을 찾을 수 있도록 라인을 따라가는 것이다.

  - 참가자들이 각 코스가 끝나면 라인에서 찾은 지도기호에 대해 토론하게 한다.

  - 참가자들이 시간이 있는 만큼 많은 코스를 운영하게 한다.

 7) 참고사항:

  - 어린이의 경우 빈 지도를 나누어주고 진행자와 함께 이동하면서 컨트롤 지점의 위치를 찾아 지도에 스티커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라인 오리엔티어링 학교용 지도>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

 

3. 라인 오리엔티어링-3(Line orienteering)

 1) 활동개요

  - 지도를 읽고 분명한 선형 특징물을 향해 가로지르는 연습을 하는 활동

 2) 대 상: White standard

 3) 장 소: 야외(식생지역)

 4) 준 비 물:

  - 라인이 그려진 지도, 컨트롤 플랙, 컨트롤 카드, 정답지

 5) 사전준비:

  - 참가자들이 분명한 선형 특징물을 향해 가로지르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선을 그린다.

  - 선을 따라 컨트롤 플랙을 배치한다.

  - 모든 참가자를 위한 지도와 컨트롤 카드를 준비한다.

 6) 진행요령:

  - 연습의 목적을 설명한다.

  - 지도와 컨트롤 카드를 나눠준다.

  - 지도의 방향을 확인한 후 참가자들을 내보낸다.

 7) 참고사항:

  - 참가자들에게 양방향으로 줄을 서게 하면 동시에 몇 명의 참가자들을 보낼 수 있으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많은 참가자들이 그들 앞에 달려온 참가자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그들만의 길을 선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라인 오리엔티어링 식생지역용 지도>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

 

4. 지도 걷기(Map walk)

 1) 활동개요

  - 선형 특징물 주변의 지도읽기 연습을 위한 활동

 2) 대 상: White standard

 3) 장 소: 야외()

 4) 준 비 물: 지도, 컨트롤 플랙 또는 리본

 5) 사전준비:

  - 적절한 루트를 계획하고, 지도에 가고자 하는 루트를 점선으로 표시한다.

  - 선형 특징물에 가까운 지형 및 선형 특징물 교차점에 있는 특징물에 컨트롤 플랙을 설치한다.

 6) 진행요령:

  - 모든 참가자들에게 지도를 나누어준다.

  - 계획된 루트를 따라 참가자들과 함께 걷는다.

  - 다양한 특징물을 지나가면서 지도색상과 지도기호를 실제 지형과 비교해본다.

  - 컨트롤 지점에서 참가자들은 지도에서 자신이 있는 위치를 가리키고 지도 방향을 정해야 한다.

 7) 참고사항:

  - 지도와 지형 모두에서 보는 것을 설명할 수 있도록 소그룹으로 진행한다.

  - 각 지점에서 참가자들의 지도 방향이 올바른지 확인한다.

  - 앞서 나가기를 원하는 참가자들은 그렇게 하도록 허용해야 하며, 모든 컨트롤 지점에서 그룹으로 기다려야 한다.

  - Green Stanard의 경우 가장 먼 지점에 도달하면 참가자들은 되돌아가는 길에 동일한 컨트롤 지점이 있는 코스를

    이용해서 라인 오리엔티어링을 하게 한다. 간단 해 보일 수 있지만 컨트롤이 반대 방향으로 취해지기 때문에 좋은

    코스가 된다.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