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지도 읽기
지도 읽기는 첫 번째 기본기술이다. 지도상에 표시된 기호를 읽고 경기장의 실제 지형지물을 식별하는 능력을 말한다. 축척 및 등고선 간격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도기호를 자주 보고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지도기호를 배우지 않고, 또 지도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다른 기술을 개발하기 어렵다.
1) 자북선
오리엔티어링은 나침반을 사용하므로 방위표시는 자북선을사용한다. 자북선은 나침반을 사용할 때 기준이 되는 선이며 항상 지도의 위쪽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2) 지도 축척
오리엔티어링 지도는 지형도를 기반으로 정밀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쉽게 읽고 해석할 수 있도록 큰 축척으로 그려졌다. 축척은 지형에 대한 지도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10,000 지도 축척은 지도에서 1cm가 지형에서 100m임을 의미한다. 단거리 경기(Sprint)는 1:4,000, 중거리 경기(Middle distance)는 1:10,000, 장거리 경기(Long distance)는 1:15,000 축척을 사용한다. 축척은 지도에 별도로 표시되어 있다.
3) 등고선 간격
등고선은 지표면의 모양를 나타내는 선으로 2.5m 또는 5m 간격으로 표기한다. 등고선을 이용해서 지형의 모양과 경사도, 표고차 등을 알 수 있다. 등고선 간격은 지도에 표시되어 있다.
4) 지도의 표시와 색상
오리엔티어링 지도는 다양한 종류의 색상, 기호, 선 및 텍스트 표시로 구성된다. 오리엔티어링 지도는 검정, 파랑, 갈색, 녹색, 회색, 노란색 및 흰색의 7가지 표준 색상과 코스 설정을 위한 자주색을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 검은 색과 회색은 바위와 절벽, 길과 도로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인공적인 대상물(건물, 벽, 울타리)에 사용된다.
- 갈색은 기본적으로 지형에만 사용 된다 : 등고선, 흙비탈, 흙구덩이, 언덕, 도랑 및 함몰지.
- 파란색은 호수, 연못, 하천, 수로와 같은 수역 특징물에 사용된다.
- 녹색은 모든 식생 특징물에 사용된다.
- 노란색은 운동장, 들판 및 개활지와 같은 트인 지역에 사용된다.
- 지도의 흰색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훤히 트인 숲을 나타낸다.
- 자주색은 코스 및 코스 관련 정보에 사용된다.
5) 지도기호
지도기호 이해는 지도 해석의 다음 단계이다. 기호를 이해하고, 지형에서 기호를 식별하고 위치를 찾는 것은 지도를 이해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이다. 오리엔티어링 기호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형 및 지도에 대한 기준이 있다. 다음 지도기호는 중거리, 장거리 경기에서 사용되는 기호들이다.
이 지도기호는 종류가 많으므로 한꺼번에 외우려 하기보다는 자주 보면서 실제 지형지물을 연상해보며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단거리 경기(Sprint)와 중/장거리 경기(Middle/Long distance)의 지도기호 일부는 약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건물, 길, 포장지역 등 인공특징물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오리엔티어링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대회참가 방법 (0) | 2022.12.28 |
---|---|
2-1. 기본기술이란? (0) | 2022.12.28 |
2-3. 지형과 그 특징 이해하기 (0) | 2022.12.28 |
2-4. 지도 사용하기 (0) | 2022.12.28 |
2-5. 나침반 사용하기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