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리엔티어링 교실

2-5. 나침반 사용하기

by 어택포인트 2022. 12. 28.

2-5. 나침반 사용하기

나침반을 사용하는 것은 오리엔티어링에서 잘 알려진 기술이다. 나침반 사용의 주요 개념은 지도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나침반 사용은 지도 방향을 보다 쉽게 설정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지도는 ‘지도상의 북쪽’이 나침반의 북쪽 바늘과 동일한 방향을 향할 때 올바른 방향이다. 이 바늘은 보통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남쪽을 가리키는 바늘은 흰색으로 표시된다.

나침반은 체크 포인트를 떠날 때 그리고 지도상에 분명하고 눈에 띄는 물체나 특징물이 없을 때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동 중에 나침반을 확인하는 것도 좋다. 특히 따라가야 할 명확한 특징물이 없는 지형에서 특히 그렇다. 그러나 나침반을 사용하기에 앞서 지도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오리엔티어링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나침반 사용은 초보자 단계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다.

1) 지도방향 바로잡기
나침반을 사용하여 실제 지형과 지도의 방향을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지도 위에 나침반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지도에 표시된 자북선의 북쪽과 나침반의 북쪽이 일치할 때까지 천천히 돌린다. 주변의 뚜렷한 특징물을 이용해서 지도 뱡항을 바로잡을 수 있는 곳에서는 나침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지도방향 바로잡기

2) 목표지점 찾아가기
길에서 벗어나 뚜렷한 특징이 없는 지점에 있는 목표지점을 나침반을 사용해서 찾아가는 방법이 다. 지도 위에 나침반을 올려놓고 다음 순서에 따라 나침반을 사용한다. 

  ① 현재위치에서 목표지점까지 나침반 한쪽 면으로 연결한다.
  ② 자북선의 북쪽과 나침반의 북쪽(빨간색 자침)을 일치시킨다.
  ③ 이동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거리를 추정하여 똑바로 간다.

목표지점 찾아가기

3) 나침반이 꼭 필요한 경우 (중급 이상)
  ① 특징물 또는 선형 특징물(핸드레일)이 거의 없는 지형에서 사용

     - 들판, 평탄한 지형, 그리고 길게 점진적인 경사면 등
  ② 시야가 제한되는 장소에서 사용 
     - 울창한 식생, 악천후(안개 또는 비) 또는 흐린 날 숲의 어둠 등
  ③ 유사한 특징물(길, 능선, 골짜기)을 가로지르는 긴 구간에서
  ④ 짧은 구간에서
  ⑤ 어택포인트에서 컨트롤까지 구간의 마지막 부분에서

나침반이 꼭 필요한 경우

4) 먼 거리를 직진할 때 (중급 이상)
먼 거리를 직진할 때 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다. 진행방향에 있는 중간지점의 특징물(뚜렷한 나무, 쓰러진 나무 등)을 목표로 해서 이동한다. 목표했던 지점에 도착하면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해서 이동한다.   

먼 거리를 직진할 때

5) 대략적인 나침반과 정밀한 나침반 (중급 이상)
  ① 대략적인 나침반(Lough compass)
     - 컨트롤 지점에서 벗어날 때
     - 큰 특징물을 찾아갈 때
  ② 정밀한 나침반(Fine compass)
    - 길이 없는 짧은 구간, 복잡한 지형에서
    - 어택 포인트에서 컨트롤 지점을 찾아갈 때
    - 작은 특징물을 찾아갈 때

대략적인 나침반과 정밀한 나침반

 

※ 나침반 사용법 요약
    1. 나침반은 방향판단을 위한 보조수단일 뿐이므로, 먼저 지도 읽기에 집중한다.
    2. 나침반은 지도와 지형의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서 가고자 하는 곳의 방향을 판단하는 데 사용한다.
    3. 나침반 사용은 길을 벗어날 때 특히 중요하다.


   

 

 

'오리엔티어링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지형과 그 특징 이해하기  (0) 2022.12.28
2-4. 지도 사용하기  (0) 2022.12.28
2-6. 컨트롤 찾아가기  (0) 2022.12.28
3-1. 응용기술이란?  (0) 2022.12.28
3-2. 코스 공략기술  (0) 2022.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