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31

LOW 2018(라트비아) 라트비아에서 2주간의 일정으로 WOC와 LOW2018(Latvia O-Week)에 참가했는데, 이곳에서는 2018년 세계선수권대회에 파견된 우리 대표선수단과 일정을 함께 하며 7개의 퍼블릭 경기에 참가하였다. 대회 추최 측에서 WOC와 LOW의 일정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편성했기에 WOC 모든 경기를 참관도 하고, 계획했던 LOW 경기에 모두 참가할 수 있어서 좋았다. 세계선수권대회는 IOF 회원국의 대표선수들이 참가하는 최고 권위의 오리엔티어링 대회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회원국들이 참가하였다. 세계 최고 수준의 체력과 기술을 겸비한 스타급 선수들이 여러 종목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쳤고, 이변도 일부 있었지만 스웨덴, 스위스 등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국가들의 우세가 이어졌다. 우리나라는 8명의 선.. 2018. 9. 15.
Oringen 2018(스웨덴) Oringen 대회는 스웨덴에서 매년 열리는 5일간의 대회이다. 50년 이상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많은 인원이 참가하는 이벤트이기도 하다. 2015년에는 23,000명이 참가하기도 했는데 올해는 13,000명 정도가 참가했다. 이번 대회는 스웨덴의 동쪽 해안가, 위도 상으로는 중간 정도에 위치한 외른셀스비크에서 열렸다. 1주일간 진행된 오링겐 대회에서는 스프린트 없이 미들경기 1개와 롱 경기 4개를 참가했고, 5일간의 경기시간을 합산하여 클래스별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처음 참가하는 대회이기 때문에 정규코스가 아닌 짧은 코스에 참가했다. 이 코스는 정해진 시간 내에 아무 때나 출발지점에 가서 등록하고 출발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지형은 바위와 암반, 습지가 많았지만 첫 날 .. 2018. 9. 15.
FIN5 2018(핀란드) FIN5는 핀란드에서 매년 5일간 열리는 대회이다. FIN5는 습지와 암반, 이끼 등으로 인해 난이도 면에서 어려운 경기장으로 알려져 있기에 미지의 세계에 대한 흥미로움도 함께 있어 기대감을 가지고 참가하였다. 스프린트, 미들, 롱 각 2번의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미들과 롱 4경기를 한 장소에서 진행할 만큼 드넓은 장소에서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미들과 롱 경기는 2.5M 등고선의 완만한 지형에서 등고선 읽기가 잘 안되고, 암반, 습지, 두꺼운 이끼가 많아 체크포인트 확인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행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져 경기에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컨트롤 수의 절반 가까이에서 실수를 했던 것 같고 경기 기록도 좋지 않았다. 스프린트에서만 평소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이것은 우리 선수 뿐 아니라.. 2018. 9. 15.
WMOC 2018(덴마크) WMOC(World Masters Orienteering Championships)는 35세 이상이 참가하는 IOF의 공인대회이다. 이번 대회는 4,300명 정도가 참가하였는데 역대 최대 규모라고 했다. 참가자 95% 이상이 유럽지역 선수들이었으며, 이 때문에 작년 뉴질랜드 대회보다는 참가자들의 경기수준이 높았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IOF 공인대회이니 만큼 경기장, 지도, 코스, 대회운영, 정보제공 등 모든 면에서 최상의 수준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대회를 위한 장소사용, 도로 및 차량 통제, 운영진 등 우리와는 차원이 다른 수준의 스케일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처음 경험해 본 인도어 오리엔티어링도 참가자들에게는 기억할만한 이벤트 중의 하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WMOC에서는 모델이벤트 3개, 처음 경험.. 2018. 9. 15.
My O-Map. 57(산본) 경험 있는 오리엔티어라면 대부분 한 번쯤은 뛰어본 산본경기장이다. 이 지도는 2008년 제1회 아시아선수권대회의 롱 경기장의 일부로 체코에서 온 제작자가 만들어준 지도이고, 경기장 한 복판에 초막골생태공원이 조성되면서 2016년에 수정사항을 반영한 지도이다. 개인적으로는 등고선, 식생, 지형지물 등 국내에서는 최상의 여건을 갖추고 있고, 지도의 완성도가 가장 높은 결과물로 평가하고 있다. 여러 차례의 친선경기와 중상급자 훈련장소로 사용했던 소중한 지도로 여기고 있다. 2018. 9. 7.
My O-Map. 56(송정) 56번째 지도, 강원도 양양군 송정리의 바닷가 캠핑장과 주변 숲을 포함한 지역이다. 이 지도는 2018년 9월 2일부터 9일까지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주관한 "제19회 세계 ARDF 선수권대회"의 스프린트 경기에 사용할 지도로 제작되었다. 다른 분이 1차로 조사한 것을 추가로 보완조사를 통해 마무리한 것이다. 1/5,000 축척에 등고선간격 2M로 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지형과는 사뭇 다른 느낌의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덴마크, 핀란드 등 북유럽에서 볼 수 있는 완만한 경사에 달리기 좋고, 습지, 함몰지 등이 여러 곳 있어 오리엔티어링을 하기에 가장 좋은 지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시간부족으로 충분한 조사를 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WOC 등 유럽지역의 대회에 참가하기 전 전지훈련 장소로 사용하면 효.. 2018. 9. 7.
My O-Map. 55(양양) 55번째 지도, 강원도 양양지역의 지도이다. 이 지도는 2018년 9월 2일부터 9일까지 사)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주관한 "제19회 세계 ARDF 선수권대회"의 Foxoring 종목에 사용할 지도로 제작되었다. 축척은 1/10,000, 용지는 A3로 지금까지 만든 지도 가운데 가장 넓은 지역을 지도에 담은 것이다. 조사지역 중 이 지도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은 다른 종목에 사용되었다. 약 45일 정도의 기간동안 현지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현지조사를 했지만 등고선, 식생, 작은 특징물 등 여러가지 면에서 세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다. 불리한 지형여건과 식생, 사유지 등 제한조건이 많아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다치지 않고 작업을 마무리한 것이 다행일 정도로 험난한 조사과정이었던 것으로 기얼할 .. 2018. 9. 7.
My O-Map. 54(한화리조트설악) 54번째 지도, 강원도 속초에 있는 한화리조트 설악별관 건물 주변지역이다. 이 지도는 2018년 9월 2일부터 9일까지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주관한 제19회 ARDF 세계선수권대회의 모델이벤트에 사용할 지도로 제작되었다. 다른 분이 1차로 조사한 것을 추가로 보완조사를 통해 마무리한 것이다. 하나의 지도를 3개의 축척으로 제시하여 클래식, 스프린트, 폭스오링 등 3개의 경기형식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 작은 지도이지만 누룽지의 첫 국제대회용 지도라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물에 젖지 않고 찢어지지 않는 특수용지(유포지)에 옾셋인쇄를 하여 비닐커버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2018. 9. 7.
My O-Map. 53(안산호수공원) 53번째 지도, 안산호수공원이다. 2018년 경기도연맹 전국대회에 사용하였으며, 2009년에 같은 장소에서 대회를 했었는데 이번에 완전 새로이 제작하였다. 축척 1/5,000에 등고선 간격 2M로 작성하였다. 트인 식생과 완만한 경사로 제법 스피드 있는 경기가 진행되었다. 2018. 9. 1.
My O-Map. 52(삼학도공원) 52번째 지도로 전남 목포에 있는 삼학도공원이다. 평탄한 지형의 공원지역과 경사가 있는 자연림이 섞여 있어 야양한 식생과 지형을 경험할 수 있는 경기장이다. 2018년도 전남연맹 전국대회에 사용하였고, 전남연맹에서 기초조사를 실시한 결과물을 보완조사를 통해 등고선, 식생 등을 수정하여 마무리하였다. 축척 1/4,000 등고선간격 2.5미터로 작성하였다. 지금까지 만든 지도 가운데 가장 남쪽에 있는 지도인 셈이다. 어린이, 청소년은 물론 동호인까지 다양한 대상이 수준에 맞게 오리엔티어링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초보자를 위해 연습용지도를 작성, 제공한 점이 특징이다. 2018. 9. 1.
My O-Map. 51(국사봉) 50번째 지도는 서울 상도동과 봉천동 경계에 있는 국사봉이다. 동작청소년문화의집 의뢰로 작업을 시작했는데, 바위가 많고 경사가 급하여 제법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서울/경기연맹 통합대회에서 사용하였고, 새로이 개정된 ISOM2017을 적용한 최초의 지도라는데 의미가 있다. 2018. 9. 1.
My O-Map. 50(오정대공원) 드디어 기억할만한 숫자 50, 누룽지의 50번째 지도는 부천의 오정대공원이다. 부천시산울림수련관에서 주관한 제10회 부천시장배 가족 오리엔티어링대회에서 사용한 스프린트 지도로 1/4,000 축척을 적용하였다. 비교적 작은 공원이지만 주변의 연결된 지역을 포함하여 2km내외의 코스를 구성하였다. 특징물이 다양하고, 경사도는 낮아 가족과 청소년의 체험은 물론 동호인들의 연습경기에도 활용할만한 곳이었다. 50장의 지도를 만드는 동안 10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고 이제는 어느 정도 완성도가 높아진 느낌이다. 체험행사 위주의 작은 지도가 많았지만 지도제작에 대한 스킬을 훈련하기에 충분했던 것 같고, 스프린트 지도는 이제 어려움 없이 그려내고 있는 것 같다, 앞으로는 미들과 롱 경기 지도에 중점을 두고 좀 더 수준 .. 2017. 9. 11.
My O-Map. 49(별내근린공원) 49번째 지도, 남양주시 별내근린공원이다. 제1회 한국 트레일(Trail) 오리엔티어링 선수권대회에서 사용한 지도로 ISSOM2007을 적용하였고, 축척 1/4,000, 등고선간격 2.5M로 하였다. 작은 경기장이지만 오밀조밀한 특징물이 있어서 트레일 경기에 사용하기 적당했지만 컨트롤이 DP점에서 가깝게 설치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트레일 경기에 사용할 지도는 좀 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모사되어야 하는 것을 느꼈고, 5M 지형도에서 2.5M 등고선을 작업하는 것이 이번 지도를 통해 어느 정도 익숙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아쉬운 점은 지도제작자와 코스설정자가 달라서 세밀한 수정이 안되었고, 대회 직전 색생과 지형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했던 점이다. 트레일에서 처음으로 전자펀칭을 적용함으로써 채점시간을 .. 2017. 9. 11.
My O-Map. 48(안양예술공원) 48번째 지도, 안양예술공원이다. 안양청소년육성재단 동안청소년수련관에서 주최한 제1회안양시 우리 가족 오리엔티어링대회에서 사용한 지도로서 ISOM2007로 제작한 마지막 지도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축척은 1/3,000이지만 여건상 ISOM으로 제작한 것이 특징이고, 스코어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지형이 험한 편이고, 저학년들이 많아서 주로 길가에 컨트롤을 배치한 결과 대부분의 가족들이 제시된 시간 내에 모든 컨트롤을 찾아왔던 것으로 기억된다. 초가을 주말을 가족이 함게 땀흘리며 뛰어 다니기에 적당한 경기장이었다. 다음 지도는 I변경된 기준에 대한 공부도 하고 적응도 할 겸 ISOM2017을 적용해서 제작할 계획이다. 2017. 9. 7.
My O-Map. 47(노적봉폭포공원) 47번째 지도, 안산의 노적봉폭포고공원이다. 청소년 동아리축제의 체험부스 운영용으로 작은 지도를 만들었다. 행사장소가 변경되어 사용은 하지 못했지만 이와 같은 작은 지도는 만들기도 쉽고, 오리엔티어링을 쉽고 부담 없이 접할 수 있기 때문에 권장할만 하다. 2017.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