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31 3-3. 루트 선택기술 3-3. 루트 선택기술 목표지점을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경로를 선택하는기술을 말한다. 오리엔티어링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며, 거리가 짧은 루트가 아니라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루트를 의미한다. 경기수준이 높아질수록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직접 경기장을 달리지 않더라도 지도를 보고 가상의 루트선택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 1) 루트선택의 결정요인 ① 거 리 - 가능한 짧은 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루트가 유리하다. ② 등고선 - 등고선 모양에 따른 지형, 경사도 등을 인지한다. - 5m 등고선 한칸을 올라갈 때 수평거리 50m를 이동하는 에너지가 소모된다. ③ 식 생 - 식생의 단계에 따른 이동속도의 차이를 인지한다. - 주행 및 느린 주행, 트인 땅 위주로 루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④ 특징물 - 선형.. 2022. 12. 28. 3-4. 구간운행 기술 3-4. 구간운행 기술 구간운행이란 현재 위치에서 다음 컨트롤 지점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구간운행 기술은 지형지물을 판단하고 속도조절을 통해 체력을 안배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각 구간을 전속운행, 감속운행, 정밀운행의 3단계로 구분하고 각 운행단계별로 적용할 기술과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아래 루트에서 노랑색은 감속운행 단계, 파란색은 전속운행, 빨간색은 정밀운행 단계를 나타낸다. 1) 전속운행 단계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기술을 별로 사용하지 않는 구간이다. 가능한 편리하고 정확한 루트를 통해 최고의 속도로 다음 지점까지 방향을 유지해가며 이동한다. 이동시마다 현재위치를 파악(엄지독도법)해야 하며, 선형특징물(Handrail), 트인 땅 등에서 운행시 적용한다. 2) 감속운행 단계 중간 속도로.. 2022. 12. 28. 오리엔티어링 용어사전 • 급수 포인트(Refresh): 경기중 식수나 음료를 제공하는 장소 • 단거리 경기(Sprint): 가장 짧은 거리에서 빠른 속도로 경쟁하는 경기종목. 주로 공원이나 시가 지에서 열리며 우승시간은 보통 12~15분 정도이다. • 도보(Foot) 오리엔티어링: 걷거나 달리면서 코스를 수행하는 오리엔티어링 경기방식. 가장 일반 화된 경기방식이다. • 도착지점(Finish): 오리엔티어링 코스가 끝나는 지점. 지도에는 이중 원으로 표기한다. • 등고선(Contour lines): 지표면의 모양을 지도에 갈색 선으로 표시한 선. 경사도 및 지형의 특징 을 알 수 있다. • 등고선 간격(Contours): 등고선 사이의 높이 차이. 일반적으로 단거리 경기에서는 2.5m, 중/장 거리 경기에서는 5m를 적용한다... 2022. 12. 28. My O-map 146) 기린면현리 146번째 지도는 강원도 인제 기린면현리 지도이다. 지역축제에서 가족단위의 에코티어링 체험을 위해 만들었으며 축척 1:2,000 등고선간격 5m의 작은 지도이다. 사전 모집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지역의 역사와 자연, 환경에 대해 퀴즈와 미션을 통해 알아보는 내용으로 운영하였다. 2022. 12. 5. My O-map 145) 북촌한옥마을 145번째 지도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북촌한옥마을이다. 외국인 단체의 팀빌딩 연수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축척 1:3,000 규격으로 만들었다. 정식 오리엔티어링 지도가 아닌 보다 쉬운 지도 읽기를 위해 최대한 단순화 해서 제작했다. 정식 경기가 아닌 체험형 도시 오리엔티어링 지도로는 적절한 표현방법이었던 것 같다. 사진출처: https://www.instagram.com/adventure.korea/ 2022. 12. 5. My O-map 144) 순천 송산마을 144번째 지도는 전남 순천시에 위치한 송산마을이다. 지역내 초등학생들의 에코티어링 체험을 위해 1:3,000 축척에 등고선간격 5m 스펙으로 만들었다. 학교 내부에서의 프로그램과 학교 밖 인근 마을을 탐방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2022. 12. 5. My O-map 143) 동탄 청계중앙공원 143번째 지도는 동탄에 위치한 청계중앙공원이다. 이 지도는 인근 초등학교 학생들의 에코티어링 체험을 위해 만들었으며 축척 1:3,000 등고선간격 5m 스펙으로 제작하였다. 신도시 아파트단지 사이에 위치한 공원으로 완만한 경사에 다양한 지형지물과 식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초보자를 위한 오리엔티어링에 적합한 장소로 생각된다. 추후 서쪽지역까지 확대해서 1:4,000 축척의 정규 규격으로 만들 예정이다. http://www.why25.com/sub_read.html?uid=349970 2022. 12. 5. My O-map 142) 제천 의림지 142번째 지도는 충북 제천시에 위치한 의림지이다. 인근 청소년수련관의 청소년,가족 오리엔티어링대회를 위해 축척 1:4,000 등고선간격 2.5m의 스펙으로 만들었다. 큰 저수지가 경기장 한 가운데를 점유하고 있어서 다소 단순한 경기장이지만 제천지역에서 처음으로 오리엔티어링 대회가 열렸다는데 의미가 있다. 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739422 2022. 12. 5. My O-map 141) 용인자연휴양림 141번째 지도는 용인자연휴양림이다. 인근 청소년수련관의 가족동아리를 대상으로 모바일 오리엔티어링 체험경기와 산림교육센터의 에코티어링 프로그램 상설운영을 위해 만들었다. 축척 1:3,000 등고선간격 5m 스펙으로 만들었다. 2022. 12. 5. My O-map 140) 정읍 샘고을시장 140번째 지도는 전북 정읍시에 위치한 샘고을시장이다. 지역축에서 가족 단위의 사진을 이용한 오리엔티어링이 이벤트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축척 1:3,000 등고선간격 5m의 스펙으로 만들어졌다. 10.29 이태원참사로 인해 계획했던 축제가 취소되면서 이렇게 지도만 남아있다. 사회적 참사는 모두에게 비극이다. 2022. 12. 5. My O-map 139) 광장시장 139번째 지도는 종로에 있는 광장시장이다. 외국인 단체 참가자를 위한 팀빌딩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만들었으며 축척 1:1,800의 스펙이다. 시장 곳곳을 찾아다니며 주어진 미션을 해결하는 내용으로 운영되었다. 사진 출처: https://www.instagram.com/adventure.korea/ 2022. 12. 5. My O-map 138) 인천 논현포대근린공원 138번째 지도는 인천 남동구에 위치한 논현포대근린공원이다. 제15회 인천광역시연맹회장배 전국대회를 위해 국제기준에 맞춰서 제작한 지도이다. 자연지형과 인공지형, 자연식생과 인공식생 등이 함께 있어 다양한 지형과 식생, 지형지물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자연지형은 조밀한 등고선으로 다소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고, 인공식생 지역에는 미로공원이 있어서 세밀한 지도읽기가 필요한 곳이어서 스프린트 경기에서 난이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2022. 12. 5. My O-map 137) 용인 아르피아체육공원 137번째 지도는 용인 아르피아체육공원이다. 인근 청소년수련관의 가족동아리 대상 오리엔티어링 체험을 위해 1:2,500 축척에 등고선간격 2.5m의 스펙으로 만들었다. 경사가 완만하다 다양한 지형지물이 있어서 초보자를 위한 스프린트 경기에 적합한 곳이다. 나침반 연습을 위한 스타 오리엔티어링, 0.9km의 1코스와 1.4km의 2코스로 구분해서 진행되었다. 2022. 12. 5. My O-map 136) 온수공원 136번째 지도는 서울 구로구에 있는 온수공원이다. 1:1,500 축척의 작은 지도로 인근 초등학교 별설유치원 어린이들의 가족참여 수업을 위해 만들어졌다. 개의 퍼즐 조각을 찾아 퍼즐을 완성하고 연령대에 따라 2, 4, 6개의 컨트롤 지점을 찾아 펀칭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컨트롤 기호는 숫자 대신 동물 그림을 사용했던 점이 특징이다. 2022. 12. 5. My O-map 135) 남해 다랭이마을 135번째 지도는 경남 남해군의 다랭이논으로 유명한 다랭이마을 지도이다. 축척 1:3,000에 등고선간격 5m 스펙으로 제작하였으며 체험관광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했다. 이 지도를 기초로 해서 스코어 방식의 오리엔티어링 체험, 셀프 가이드형 상설코스, 퀘스트 오리엔티어링 등 3개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다. 상설 코스를 위해 고정컨트롤이 설치되어 있다. 2022. 12. 2. 이전 1 2 3 4 5 6 7 8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