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프로그램-3) 콘 오리엔티어링(Cone Orienteering)

by 어택포인트 2020. 12. 29.

1. 봉우리와 함몰지(Knolls & Depressions)

 1) 활동개요

  - 접시 콘을 이용한 뒤집기 게임을 통해 체력과 순발력을 향상시키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상

 3) 장 소: 실내 또는 야외

 4) 준 비 물: 8개 이상(짝수)의 접시 콘

 5) 사전준비:

  - 5m 이상의 간격을 두고 평행선 3개를 바닥에 그린다.

  - 중앙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접시 콘 절반은 바로 놓고 절반은 뒤집어 놓는다.

 6) 진행요령:

  - 봉우리와 함몰지 지도기호를 설명한 다음 게임을 진행한다.

  - 팀을 두 개로 나누고 바깥 선에 한 줄로 서게 한다.

  - 순서대로 한 사람씩 중앙선으로 달려가서 접시 콘을 뒤집어 놓고 돌아와서 다음 주자와 터치로 교대한다.

  - 정해진 시간(1)이 되었을 대 많이 뒤집은 팀이 승리한다.

 7) 참고사항:

  - 접시 콘을 중앙에 배치하지 않고 주변에 분산시켜서 변화를 준다.

 

<활동장 배치>

출처: At Home Orienteering Resources(British Orienteering)

 

2. 카운팅 콘(Counting Cones)

 1) 활동개요

  - - 콘 그리드를 이용하여 지도 방향잡기 연습, 두뇌회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상

 3) 장 소: 실내 및 야외

 4) 준 비 물: 12개의 콘(빨강, 파랑, 노랑, 초록 각 3), 코팅된 샘플 지도, 코팅 지도 세트, 답안지, 기록지,

                 콘에 부착할 라벨, 지도 바구니

 5) 사전준비:

  - 12개의 콘과 라벨을 설치한다.

 6) 진행요령:

  - 설치된 콘의 파란색 끝 부분에 2명씩 짝지어서 앉는다.

  - 참가자들에게 연습용 지도의 사본을 나누어주고 방향을 잡았는지 확인한다.

  - 진행자는 지도방향, 출발 삼각형, 도착 이중 원을 설명하고 지도 방향을 잡으면서 루트를 걷는다.

    참가자들(앉아있는)은 손가락으로 지도상 지도자의 루트를 따른다.

  - 각 팀에게 지도 1-6을 제공한다.

  - 각 팀은 지도에 빨간색 삼각형으로 표시된 출발 지점에 대기한다.

  - 출발부터 도착까지 지도상의 루트를 따라 가면서 콘에 있는 숫자를 더하고 지도의 방향을 올바르게 유지하는 것을

    설명한다.

  - 완료되면 진행자에게 답을 확인한 다음 다른 지도를 선택하고 다른 코스를 실행한다.

 7) 참고사항:

  - 이것은 오리엔티어링을 처음 경험하는 참가자들에게 효과적인 연습이다.

  - 콘 사이의 이동거리를 줄이거나 늘린다. 방향을 돕기 위해 원뿔 사이에 동일한 거리를 유지한다.

 

<활동장 배치>

 

<코스지도 예시>
<정답지 및 기록지>

출처: Tri-O(British Orienteering)

 

3. 콘 그리드 오리엔티어링(Cone Grid Orienteering)

 1) 활동개요

  - 콘 그리드를 이용하여 지도의 시각화, 엄지 독도법, 지도 방향잡기를 연습하기 위한 활동

 2) 대 상: 6세 이상

 3) 장 소: 실내 및 야외

 4) 준 비 물:

  - 11개의 콘(난이도를 높일 경우 18개 이상)

  - 코스로 준비된 그리드 지도

 5) 사전준비:

  - 빈 종이에 도트 패턴을 만든다(예제 참조).

  - 점 그리드 사이에 충분한 코스를 디자인하여 그린다.

  - 완성된 코스 지도를 출력한다.(A4 용지에서 여러 지도를 잘라낼 수 있음)

  - 지도에 따라 패턴에 콘/플랙을 배치한다.

  - 난이도가 있는 18개의 도트 패턴을 다른 장소에 준비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6) 진행요령:

  - 참가자들과 함께 콘을 살펴보고, 그들이 이해하고 활동 중에 콘을 건드리지 않도록 염두에 두었는지 확인한다.

  - 출발지점 뒤에 참가자들을 한 줄로 배치하고 출발지점에서 지도를 나눠준다.

  - 연속된 출발 선수에게 같은 코스를 주지 않는다.

  - 참가자들은 자신의 코스를 실행하고 올바른 순서로 콘/플래그를 터치한다.

  - 목표는 새로운 코스를 기다리기 위해 대기열로 돌아간다.

  - 참가자들에게 지도를 항상 올바른 방향으로 유지/돌려잡도록 상기시킨다.

  - 각 참가자가 먼저 몇 가지 쉬운 코스를 실행한 다음 더 어려운 코스를 실행하도록 하거나 18개의 콘 그리드로

    보낼 수 있다.

 7) 참고사항:

  - 참가자들은 빈 그리드 맵에서 자신의 코스를 디자인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원뿔 사이에 테이프 또는 인공 장애물을 놓는다(지도에 선으로도 표기)

  - 전자펀칭을 사용하여 기록측정을 하면 효과적이다.

  - 팀별 릴레이 경기방식을 적용하며 경쟁할 수 있다.

  - 코스 지도 없이 콘에 일련번호를 붙여놓고 번호 순서대로 터치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진행하는 방법도 있다.

 

<코스지도 예시>

출처: Online Orienteering Guide for Teachers(haaga-helia university)

 

4. 움직이는 물체(Moving Objects)

 1) 활동개요

  - 카드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물체를 배치하는 게임을 통해 관찰력, 공간인식 능력, 지도에 대한 집중력을 키우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상

 3) 장 소: 실내 및 야외

 4) 준 비 물: 과제 카드, 분필 또는 로프, , 플라스틱 용기

 5) 사전준비:

  - 분필 또는 로프를 사용해서 사각형 모양의 활동장을 준비한다.

 6) 진행요령:

  - 참가자들은 과제 카드와 일치하도록 물체를 번갈아 이동한다.

  - 참가자는 파트너 또는 팀이 계획을 올바르게 얻었는지 평가하는 파트너 또는 팀으로 배치 될 수 있다.

  - 일치하는가? 어떻게 일치하는가?

  - 물체 간의 거리, 패턴, 비율 등을 보고 물체 간의 관계를 비교한다.

 7) 참고사항:

  - 두 개의 스테이션을 설치하여 두 팀이 경쟁하여 승부를 정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 물체의 색상과 모양을 다르게 하여 난이도를 높일 수 있다.

 

<사각형 모양의 활동장>
<과제카드와 배치된 물체 예시>

출처: Ready to go Orienteering(Ieish Orienteering Association)

 

5. 피치 오리엔티어링(Pitch Orienteering)

 1) 활동개요

  - 축구장 등의 경기장에서 여러 가지 코스를 수행하며 네비게이션 기술을 배우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상

 3) 장 소: 실내 및 야외(축구, 핸드볼, 농구, 넷볼 등 경기장)

 4) 준 비 물: (컨트롤마크 및 펀치로 대체 가능), 코스 지도

 5) 사전준비:

  - 16개의 번호가 매겨진 콘(또는 컨트롤 플랙)을 경기장 주변에 설치한다.

  - 참가 팀 수만큼의 코스별 지도를 준비한다.

 6) 진행요령:

  - 참가자는 팀으로 나뉘며 각 팀에는 다른 순서로 맵 세트가 제공된다.

  - 각 그룹의 첫 번째 참가자는 시리즈의 첫 번째 지도를 가져와 코스를 시작한다. 그들은 방문하는 각 콘에서 숫자를

    가져 와서 합산해야 한다.

  - 집결지로 돌아오면 다음 팀원이 지도에서 출발할 수 있도록 허용되기 전에 진행자에게 정답지를 제시해야 한다.

  - 모든 과정을 올바르게 가장 빨리 완료한 팀이 우승 팀이 된다.

 7) 참고사항:

  - 자신의 속도와 움직임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 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산만 해지지 않고 자신의

    클래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코스를 주행하지 않는 참가자들은 경기장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대기해야 한다.

  - 속도와 정확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가능한 한 다음 장소를 미리 생각하도록 강조한다.

  - 참가인원 규모에 따라 팀별 참가인원을 조정할 수 있다.

  - 축구장, 넷볼, 농구장, 테니스장 실내외 다양한 장소에서 적용할 수 있다.

  - 펀칭도구를 사용하여 펀칭 방식의 경기로 운영할 수 있다.

 

<코스지도 및 정답지, 기록지 예시>

출처: pearsonprimaryschool.co.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