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프로그램-8) 지도 만들기(Map Making)

by 어택포인트 2020. 12. 30.

1. 새의 눈으로 보기(BIRD'S EYE VIEW)

 1) 활동개요

  - 지도에서 특징물이 어떻게 그려지는지 그림을 통해 이해하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하

 3) 장 소: 실내

 4) 준 비 물: 활동 이미지

 5) 사전준비:

  - 활동이미지는 인원()수만큼 출력하거나 프로젝터로 보여준다.

 6) 진행요령:

 7) 참고사항:

  - 참가자들은 3D로 보이는 물체가 있고 조감도로 보이는 첫 번째 이미지를 보고 연습을 이해한다.

  - 그룹 또는 개별적으로 두 번째 활동 이미지를 완성해야 한다.

  - 각 문자는 숫자에 해당한다. 문자가 있는 이미지는 위에서 본, 숫자가 있는 이미지는 옆에서 본 그림이다.

  - 연습 후 진행자는 참가자들에게 코멘트와 피드백을 한다.

 

출처: Online Orienteering Guide for Teachers(haaga-helia university)

 

2. 재미있는 얼굴(Funny Faces)

 1) 활동개요

  - 제시된 물품과 지도에 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웃긴 얼굴을 만들면서 지도의 개념을 이해하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상

 3) 장 소: 실내 및 야외

 4) 준 비 물:

  - 후프 9, 스포츠콘 6, 접시콘 9, 콩주머니 21, 콩주머니, 얼굴지도 등

 5) 사전준비:

  - 아래 그림과 같이 활동에 사용할 물품을 배치한다.

 6) 진행요령:

  - 참가자들에게 기호의 개념을 설명하고 2명씩 팀을 만든다.

  - 기다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도록 가급적 복수의 인원으로 배치한다.

  - 각 팀의 첫 번째 참가자는 얼굴 지도가 주어지고 물품 더미로 달려가 지도에서 1번에 적합한 조각을 선택한 다음

    재미있는 얼굴 후프의 적절한 위치에 놓는다.

  - 그런 다음 뒤로 달려가서 다른 사람에게 지도를 건네준다. 재미있는 얼굴이 완성될 때까지(12개 항목) 계속해서

    진행한다.

 7) 참고사항:

  - 필요한 경우 2명이 함께 만들 수도 수 있고 여러 팀이 지도를 바꿔가면서 릴레이로 진행해도 된다.

 

<활동장 배치>                                                         <재미있는 얼굴 지도>

출처: Tri-O(British Orienteering)

 

3. 열기구(Hot air balloon)

 1) 활동개요

  - 지도가 위에서 본 현실의 그림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지도 기호를 배우는 활동

 2) 대 상: Green standard

 3) 장 소: 야외(식생지역)

 4) 준 비 물:

  - 화이트보드 또는 플립차트, 파란색, 갈색, 검정색, 노란색 및 녹색 화이트보드 펜 또는 펠트 펜

 5) 사전준비:

  - 없음.

 6) 진행요령:

  - 진행자가 열기구 여행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 오리엔티어링을 할 때 현실의 축소된 그림인 지도를 사용한다. 100미터 높이의 열기구를 타고 날아간다고 상상해

    보자. 열기구 바구니 가장자리 너머로 무엇을 볼 수 있을까?

   ․ 우리는 호수를 볼 수 있다. 이것이 지도에 어떤 색이라고 생각하는가? (파란색-보드판에 파란색을 그린다.)

   ․ 이제 우리는 트인 들판을 날고 있다. 어떤 색으로 트인 땅을 그릴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노란색-보드판에 노란색을

     그린다.)

   ․ 우리는 소나무 숲을 지나가고 있다. 숲이 정말 두꺼울 때 지도에 어떤 색을 그릴 것 같은가? (녹색-보드판에 녹색을

     그린다.)

   ․ 다니기 좋은 숲은 모두 흰색으로 그려진다. (지금 오리엔티어링 지도를 표시하는 것이 좋다.)

   ․ 이제 집, 바위 및 전기줄을 볼 수 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많은 다른 물체들은 열기구에서 위에서 바라보는 것과

     똑같이 지도에 검은 색으로 그려져 있다. (검은 색-보드판 위에 집을 그린다.)

   ․ 이제 한 가지 색상만 남았는데 그것은 갈색입니다. 지상에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모든 것은 갈색으로 그려진다.

     (갈색-보드판에 갈색을 그린다.)

  - 이제 우리는 보드판에 그려진 오리엔티어링 지도에 존재하는 모든 색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의 지도가 있다. (가까운 지역의 지도가 있는 경우 제공). 이제 우리는 지도에 있는 지도기호를 보고 그 의미를

    알게 것이다. 보드판에 올바른 색으로 옆에 그려볼 것이다.

 7) 참고사항:

  - 근처에 높은 언덕이 있어 풍경을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들려주면 효과적일 수 있다.

  - 참가자들이 숙제 책이나 일지가 있으면 여기에 지도기호를 그려 숙제로 삼을 수 있다.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

 

4. 나만의 지도 그리기(Build a landscape and draw your own map)

 1) 활동개요

  - 지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지도가 현실의 축소임을 이해하고, 지도기호를 연습하기 위한 활동

 2) 대 상: Green standard

 3) 장 소: 야외()

 4) 준 비 물: 다양한 색상의 두꺼운 펠트펜. 건물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지도기호 일람표

 5) 사전준비:

  - 1m×1m의 사각형을 표시한다.

 6) 진행요령:

  - 참가자들이 미니 오리엔티어링 플랙(마커)을 직접 만들게 한다.

  - 사각형 안에 획득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환상적인 풍경을 만든다. 이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주고 그들의

    상상력이 흐르도록 한다.

  - 풍경 위에 비닐을 놓고 풍경지도를 그린다.

  - 지도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며 어떤 지도기호를 사용해야 하는지 토론한다.

 7) 참고사항:

  - 지도가 완성되면 미니 오리엔티어링에 사용할 수 있다. 미니 오리엔티어링 플랙(마커)을 풍경에 배치하고 참가자들이

    지도에서 어디에 있는지 보여주도록 한다.

  - 풍경을 돌아다니며 지도방향을 유지하여 지도방향을 맞추는 연습을 한다.

  - 큰 비닐에 지도를 작성하는 대신 참가자들은 자신의 A4 용지에 지도를 그릴 수 있다.

  - 참가자들이 비닐 위에 풍경을 그릴 때 자신의 지도기호를 사용하게 한다. 그런 다음 A4 용지에 실제 지도기호로

    지도를 그리고 차이점에 대해 토론하게 한다.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

 

5. 보물섬(Treasure Island)

 1) 활동개요

  - 간단한 지도를 만들어보면서 특징물의 모양과 위치, 루트에 이해하는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하

 3) 장 소: 실내(교실, 강강)

 4) 준 비 물: 섬의 테두리를 나타내는 분필 또는 로프, 섬의 특징물을 나타내는 물체(; 마분지, 로프, 화분, 상자 등),

                 클립보드, 종이, , 연필 등

 5) 사전준비:

   - 분필이나 로프를 사용하여 바닥에 섬 모양의 테두리를 그린다.

   - 호수를 나타내는 물통, 강을 나타내는 파란색 로프, 나무를 나타내는 화분 식물, 건물로서의 상자 등 가까이에 있는

     물건을 둔다.

 6) 진행요령:

   - 섬 주변에 참가자들을 둘러앉게 한다.

   - 활동의 개요를 설명한다.

    ․ 우리는 무인도에 난파된 선원이다. 탈출은 가능하지만 너무 무겁기 때문에 보물을 가져올 수 없다. 섬의 지도를 그려

      보물을 어디에 묻었는지 표시해서 다음에 돌아올 때 찾을 수 있도록 하자. - 분필이나 로프를 이용하여 섬의 모양을

      그리도록 한다.

   - 화살표를 사용하여 섬 해안가에 앉아있는 위치를 표시한다.

   - 큰 특징물을 먼저 배치하고 한 번에 하나의 개체를 섬에 추가 한 다음 학생들이 지도에 그린다. 호수용 마분지,

     하천용 로프, 나무용 화분, 건물 용 상자 등을 사용한다.

   - 지도에서 기호의 사용에 대해 토론한다.

   - 지도에 'X'를 표시하여 보물을 숲겨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한다.

   - 그들이 가는 길에 어떤 특징물을 지나가는지 함께 토론한다.

   - 섬이 충분히 크면 참가자들은 보물에 도달하기 위해 섬에서 계획된 경로를 걸으며 지형지물을 지나고 표시할 수

     있다.

 7) 참고사항:

   - 다양한 물체의 레이아웃으로 미리 지도를 준비하여 참가자들이 레이아웃과 올바른 카드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또한

     다른 지도와 일치하도록 섬에 있는 물건을 배열하도록 주문한다.

 

<미리 준비한 지도의 예시>

출처: Ready to go Orienteering(Irish Orienteering Association)

 

6-1. 감자 등고선(Potato Contours)

 1) 활동개요

  - 등고선을 소개하고 등고선이 표고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이해하기 위한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하

 3) 장 소: 실내

 4) 준 비 물: 감자, , 도마, 종이, 색연필

 5) 사전준비:

  - 활동 전에 미리 감자를 자른다. 이 활동을 할 때마다 잘라낸 것을 대체한다.

 6) 진행요령:

  - 감자를 세로 방향으로 절반을 자른다.

  - 절반의 감자를 3조각으로 자른다.

  - 각 참가자는 감자 반 개(3 조각)를 받는다.

  - 등고선을 설명한다.

   ․ 등고선을 가로지르면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 등고선을 따라가면 평평한 지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 활동을 시연하며 감자는 언덕과 같다는 것을 설명한다.

  - 종이를 나눠준다.

  - 가장 큰 감자를 종이에 놓고 외곽선을 따라 선을 긋는다.

  - 그 다음 두 번째 감자 조각을, 마지막으로 세 번째 조각을 첫 번째 감자 조각 외곽선 안에 긋는다.

  - 언덕처럼 보이는 등고선으로 끝나야합니다.

 7) 참고사항:

  - 연령이 높아지면 반죽이나 모래를 사용한다.

 

6-2. 컨투어 핸드(Contour Hand)

 1) 활동개요

  - 등고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상

 3) 장 소: 실내

 4) 준 비 물: 등고선 지도, 갈색 마커

 5) 사전준비:

  - 등고선 지도를 준비한다.

 6) 진행요령:

  - 마커가 있는 피크닉 테이블로 이동한다.

  - 지도를 나눠주고, 지도에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길과 등고선만 있다.

  - 등고선에 대해 이야기하고 손 등고선을 만든다.

   ․ 시범을 보여준다.

   ․ 갈색 선을 따라 있는 점은 모두 같은 높이이다.

   ․ 갈색 마커를 가지고 테이블 위에 주먹을 올려놓는다.(진행자의 시범을 보며)

   ․ 테이블 1cm 위의 주먹 둘레에, 다시 2cm 높이로 등고선을 그린 다음 손가락 관절 주위에 작은 원을 그린다. 이제

     등고선이 있는 3D 언덕이 생겼다.

   ․ 주먹을 풀고 손을 테이블에 대고 평평하게 눕힌다. 이제 주먹의 2D 지도가 생겼다.

  - 지형에서 이것을 본다.

   ․ 가까운 언덕 중 하나로 걸어가서 지도에 있는 원을 본다.

   ․ 이제 언덕을 올라 다른 곳을 통과한다.

 7) 참고사항:

  - 진행자는 손에 색칠을 해야 한다. 참가자들은 손에 색칠하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먼저 물어보는 것이 좋다.

  - 참가자들은 손으로 등고선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 몇 번 설명해야 할 수도 있다.

 

6-3. 등고선 이해(Understanding hills)

 1) 활동개요

  - 등고선 이해를 연습하기 위한 활동

 2) 대 상: Yellow standard

 3) 장 소: 야외

 4) 준 비 물: 모래 더미 또는 이와 유사한 것, , 종이

 5) 사전준비:

  - 모래 더미에 다양한 모습의 여러 언덕 또는 비슷한 것을 만든다.

 6) 진행요령:

  - 모래언덕 주변에 참가자들을 모은다.

  - 다른 모습이 어떻게 보이는지 토론한다.

  - 등고선을 모래에 표시하고 언덕이 더 가파르면 서로 가까워지는지 확인한다.

  - 지도상의 등고선 간격은 보통 2.5m 또는 5m라고 말한다.

  - 참가자들에게 언덕 지도를 그리게 한다.

 7) 참고사항:

  - 모래 대신 눈을 사용하거나, 적절하게 형성된 바위/암석을 사용하여 등고선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줄 수 있다.

  - 이 연습을 반대로 하는 것도 좋다. 참가자들에게 하나 이상의 언덕이 있는 완성된 지도를 제공한 다음 모래로 언덕을

    만든다.

  - 참가자들이 새로운 언덕을 형성하게 한다.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

 

7. 지도 채우기(You Complete Me)

 1) 활동개요

  - 컨트롤 주변의 공간을 지도에 그려보면서 지도기호 및 공간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

 2) 대 상: 중학생 이상

 3) 장 소: 야외(식생지역)

 4) 준 비 물: 컨트롤, 색상 펜, 지도

 5) 사전준비:

  - 코스를 설정하고 컨트롤 원 안팎을 비워 둔다.

  - 컨트롤을 설치한다.

 6) 진행요령:

  - 각 참가자에게 지도와 컬러 펜을 나누어 준다.

  - 참가자들에게 오리엔티어링 기호를 사용하여 지도의 빈 영역에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한다.

  - 이것은 시간제한이 있는 이벤트가 아니므로, 참가자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

  - 지형에 대한 시각이 원근감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참가자들에게 매핑중인 지역을 돌아다니도록 조언한다.

 7) 참고사항:

  - 이 연습의 변형은 등고선만 그리는 것이다.

 

출처: www.orienteering.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