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미니 오리엔티어링(Mini orienteering)
1) 활동개요
- 지도가 어떻게 구성되고 그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
2) 대 상: Green standard
3) 장 소: 실내(교실)
4) 준 비 물: 메모장, 펜
5) 사전준비: 없음.
6) 진행요령:
- 참가자들이 오리엔티어링 플랙(마커)을 직접 만들게 한다.
- 교실 바닥에 메모패드를 놓는다.
- 모든 참가자들이 함께 메모패드에 둘러선다.
- 교실지도를 그린다.
- 참가자들이 지도에 표시할 내용을 결정하도록 도움을 준다.
-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다.
- 한 그룹은 교실 밖으로 내보내고 다른 그룹은 교실 주위에 오리엔티어링 플랙(마커)을 배치한다.
- 그런 다음 지도에서 플랙(마커)이 있는 위치를 표시한다. 다른 그룹의 참가자들을 교실로 다시 데려온다.
- 이제 그들은 다른 그룹의 모든 오리엔티어링 플랙(마커)을 찾기 위해 지도를 사용해야 한다.
- 그런 다음 그룹이 역할을 바꾸도록 한다.
7) 참고사항:
- 대안으로 바닥에 있는 메모패드를 칠판이나 플립 차트로 대체 할 수 있다.
- 참가자들에게 지도에서 플랙(표시물)을 놓을 위치를 차례로 가리키도록 한 다음 실제로 올바른 위치에
플랙(표시물)을 설치하게 한다.
- 지도가 위에서 본 것처럼 현실이 축소된 것임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참가자들이 의자나 벤치에 서게 할 수 있다.
- 줄자, 모눈종이를 이용하여 축척에 맞는 지도를 그려서 사용할 수 있다.
- 학교 운동장의 간단한 지도를 그려서 활용할 수 있다.
․ 특징물의 경계선은 표시하되 색상은 채우지 않는다.
․ 여러 사본을 인쇄하고 지도 영역을 학생들과 함께 걷는다.
․ 기본 오리엔티어링 지도 범례를 사용하여 참가자들이 각 특징물의 색상을 결정하고 지도 사본의 개체에서 적절하게
색칠하도록 한다.
출처: Teaching Orienteering Technique(Oringen Academy)
7-2. 마이크로 오리엔티어링(Micro Orienteering)
1) 활동개요
- 자신의 것이 아닌 컨트롤을 무시하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루트 선택 및 주행 중 의사결정 연습을 위한 활동
2) 대 상: 초등학생 이하
3) 장 소: 야외(학교, 공원, 식생지역)
4) 준 비 물: 지도, 나침반, 컨트롤 카드
5) 사전준비:
- 좁은 면적(~150m×150m)을 골라 경계선을 표시한다. 등고선, 식생, 인공 특징물 등. 임시 울타리로 된 특징물을
추가할 수 있다.
- 해당지역에 대한 대축척 지도를 만들고, 많은 수의 컨트롤로 구성된 5개 이내의 코스를 만든다.
6) 진행요령:
- 5명(팀)씩 동시에 출발한다.
- 올바른 컨트롤을 펀칭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잘못된 컨트롤이 있으면 미스 펀칭이 될 것이다.
- 다음 5명의 그룹은 첫 번째 그룹이 도착할 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2분 뒤에 내보내서 참가자들이 너무 오래
기다리지 않도록 한다.
7) 참고사항:
- 모든 그룹이 동시에 할 수 있어서 좋다. 이것은 혼란을 더할 것이다. 진행자는 활동의 다른 부분에서 도움을 줄
것이며, 그룹에만 집착하지 않을 것이다.
- 참가자들이 너무 많아서 코스 사이에 오래 기다리게 된다면, 그룹의 절반 코스를 하고 나머지 절반은 마이크로-O를
한 후 교대한다.
- 전자펀칭 시스템을 설치하면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동일한 펀칭으로 더 많은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출처: www.orienteering.ca
'오리엔티어링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9) 매칭 게임(Maching Game) (0) | 2020.12.30 |
---|---|
프로그램-8) 지도 만들기(Map Making) (0) | 2020.12.30 |
프로그램-6) 동물 오리엔티어링(Animal Orienteering) (0) | 2020.12.29 |
프로그램-5) 스트링 코스(String course) (0) | 2020.12.29 |
프로그램-4) 미로 오리엔티어링(Maze Orienteering)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