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1

My O-Map. 39(광교중앙공원) 39번째 지도로 광교중앙공원이다. 축척 1/5,000에 등고선 5M 간격으로 공원지역이지만 숲이 많아서 ISOM2000 규정에 따라 작업했다. 10월 서울/경기연맹 통합친선경기에 사용했으며, 공원 접근성을 좋지 않지만 체험교육이나 연습경기장으로는 그런대로 괜찮은 곳으로 생각된다. 2016. 10. 17.
My O-Map. 38(구갈자연생태공원) 38번째 오리엔티어링 지도로 용인에 있는 구갈자연생태공원이다. 제7회 경기도연맹 트레일 오리엔티어링대회에 1/2,000 축척으로 만들어졌다. 대회 직전 공원 환경개선 공사로 인해 연못이나 데크가 많이 철거되어서 코스운영에 어려움은 있었다. 초등학생이나 저학년 대상 오리엔티어링 체험장소로 적당한 규모와 환경을 갖춘 장소로 생각된다. 2016. 10. 17.
My O-Map. 37(경기상상캠퍼스) 37번째 오리엔티어링 지도로 수원에 있는 경기상상캠퍼스 지도이다. 도시숲을 이용한 에코티어링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제작하였으며, 완만한 경사에 울창한 숲과 문화예술의 기운이 넘치는 좋은 곳이다. 어린이, 청소년은 물론 가족들에게 숲생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사용될 예정이지만, 완만한 지형에 다양한 식생, 안전한 주변환경 등으로 초보자를 위한 오리엔티어링 교육장소로서도 최적의 장소로 생각된다. 축척 1/2,500에 등고선간격 2M로 ISSOM2007 기준에 따라 제작하였다. 2016. 9. 22.
My O-Map. 36(에버리치호텔) 36번째 오리엔티어링지도, 강화도에 위치한 에버리치호텔이다. 경기도연맹에서 에버리치호텔과 연계하여 성인단체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상설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자 제작하였으며, 축척 1/2,500에 등고선간격 2M, ISSOM2007을 적용하였다. 특기할만한 사항은 접경지역으로 인해 지형도가 공개되지 않아 모든 내용을 GPS와 거리측정기, 제도제작용 나침반을 이용해 제작하였다. 다소 시간은 걸렸지만 Base Map이 없어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결과물이 나왔다는 점이다. 2016년 2월에 조사를 시작해서 한동안 공백기간이 있다가 9월에야 마무리해서 사용할 수 있었다. 2016. 9. 22.
My O-Map. 35(만골근린공원) 35번째 지도, 용인 만골근린공원이다. 1/4,000 축척에 등고선간격 2M로 스프린트 지도이지만 식생지역이 많아 미들경기와 같은 스프린트 경기로 운영되었다. 공원이 최근에 조성되어 1/1,000 지도와 1/5,000 지도에 반영된 내용이 달라서 두 지도를 합성하여 제작하였다. 도로와 아파트단지, 골프장 사이에 위치한 공원을 이용하여 친선경기에 사용하였다. 좁은 공간이지만 초보자부터 엘리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으로 코스를 설정하여 운영하였다. 2016. 8. 22.
My O-Map. 34(안산문화예술의전당) 34번째 지도,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지도이다. 안산문화재단에서 주최한 여르미오 축제의 한 프로그램으로 가족 대상 오리엔티어링 체험경기에 사용된 지도이다. 1/4,000 축척에 등고선간격 2M로 변화된 지역이 있어 1/1,000과 1/5,000 지형도를 기초도로 사용하였다. 제한시간 50분을 주고 스코어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2016. 8. 22.
My O-Map. 33(가평생활체육공원) 33번째 지도로 체험용 지도이다. 1/4,000 축척에 등고선 간격 2.5M를 적용한 스프린트 지도이다. 공원 장소사용에 제약이 있어 코스를 단순하게 짠 것이 아쉽지만 초보자들 체험용으로는 등행도 높지 않고 적당한 숲과 적당한 공원이 있어서 괜찮았던 장소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단일 코스로 필요장소 위주로 조사를 해서 작업시간은 비교적 적게 소요되었다. 2016. 7. 24.
My O-Map. 32(시흥능곡) 서른 두 번째 지도로 처음으로 혼자 완성한, 단일 지역으로는 이제까지 만든 지도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과 조사기간이 소요된 1/10,000 경기용 지도이다. 제10회 경기도연맹 전국대회에서 200여 명이 참가하여 대회를 치뤘으며, 초보자, 학생, 가족은 1/7,500으로 확대해서 경기에 사용했다. 경기장이 원시림에 가깝고 다양한 식생, 등고가 높은 등 체력과 기술, 정신력까지 필요로하는 여건으로 지도작업도 쉽지는 않았다. 5월 한달간 20일 가까지 매달려 작업을 진행했는데, 작업 초기에 비해 식생의 변화가 있어서 코스를 변경하는 일도 있었다. 참가선수들에게 간만에 빡신(?) 경기를 하게 했던, 체력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또 정신적으로 난이도가 있었던 지도였던 것 같다. 2016. 6. 13.
My O-Map. 31(평촌자유공원) 서른 한 번째 지도로 평촌자유공원의 체험용 지도이다. 우리 연맹의 동료 이사님이 지형지물에 대한 기초작업을 한 것을 식생조사를 추가하여 임시지도로 사용하였다. 초보자를 위한 체험용으로, 또 지도자를 위한 교육용으로, 간단한 스프린트 경기용으로 좋은 입지여건을 갖춘 장소로 생각된다. 추후 등고선 수정작업을 통해 완성하여 사용할 계획이다. 2016. 6. 13.
My O-Map. 30(국화리학생야영장) 서른 번 째 지도, 강화도의 국화리학생야영장의 체험용 지도이다. 접경지역으로 국가에서 지형도 제공이 되지 않아 GPS와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하여 등고선 작업을 했다. 타 지역에 비해 시간은 많이 소요되었지만 처름 해보는 작업이라 흥미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고 있지만 시간여력이 있을 때 범위를 넓혀 완성할 생각이다. 2016. 6. 13.
My O-Map. 29(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누룽지의 29번째 지도인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오리엔티어링 지도이다. 1/1,000 지형도를 기반으로 현지조사를 통해 제작하였기에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등고선 수정작업이 이루어졌다. 1/5,000 축척의 스코어 방식 2개 코스와 1/3,000 축척의 포인트 방식 및 스코어방식 2개 코스로 편성했다. 1/5,000 축척 지도는 30개의 고정컨트롤을 사용하고, 1/3,000 축척 지도는 처음으로 도입된 전자계측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컨트롤을 사용하도록 했다. 아울러 기존 고정컨트롤의 위치가 안전 및 컨트롤 위치규정에 적합하지 않은 20개 컨트롤에 대한 위치를 변경해서 적용했다. 2016. 4. 12.
My O-Map. 8.1(양평미리내캠프) 2010년 처음 제작했던 양평 미리내캠프의 수정지도이다. 수련원 하단부에 전원주택 단지와 테라스하우스가 들어서게 되어 이를 수정하였고, 컨트롤 위치도 일부 변경하였다. 스코어 오리엔티어링 방식으로 초,중학생을 위한 A코스와 중,고등학생을 위한 B코스로 구성하였다. 2016. 4. 12.
My O-Map. 28(광주중앙공원) 2015. 11. 30.
My O-Map. 27(연인산다목적캠핑장) 연인산캠프장(공개).ocd1.46MB 2015. 11. 30.
My O-Map. 17-1(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 제9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사용한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 지도이다. 이전 지도를 Base Map으로 해서 동쪽에 대한 지형과 전반적인 식생조사를 다시 해서 오전 개인경기와 오후 릴레이경기에 사용했다. 2015.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