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리엔티어링 투어

제2회 아시아선수권대회(일본)_Long

by 어택포인트 2010. 5. 10.

두번째 참가한 롱코스입니다. 미들경기에 비해 난이도는 낮고 약간의 체력을 요하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지형과 식생으로 구성된 경기장이었습니다. 미들경기의 부진을 조금은 만회할 수 있었던 경기였습니다.

 

 

 

(스타트->1번)

골짜기를 따라 방향을 잡고 진행했는데 빗금은 쓰러진 나무가 산재해 있는 주행하기가 매우 불편한 지역이었음. 1번 가까이의 습지를 확인한 후 쉽게 찾을 수 있었음. 통행도를 고려햇다면 왼쪽 골짜기를 따라 공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을 것으로 생각됨.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2분 34초

 

(1번->2번)

경작지까지 접근하여 골짜기를 따라 쉽게 찾아냄.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29초

 

(2번->3번)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는 코스로 안전하게 골짜기를 따라 우회하는 코스를 택함. 방향을 잃을 우려가 많아 조심스럽게 운행했던 구간이었음.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2분 3초

 

(3번->4번->5번)

난이도보다는 약 1km정도의 긴 레그로 난이도보다는 주행능력이 필요했음.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2분 25초+4분 44초=7분 9초

 

(5번->6번)

짧은 레그였으나 정확히 방향을 잡지 않으면 실수할 수도 있는 구간이었음.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21초

 

(6번->7번)

비교적 긴 레그로 난이도보다는 주행능력이 필요한 구간이었음.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2분 2초

 

(7번->8번)

1km 이상의 긴 레그로 이번 경기의 승부처로 생각됨. 두번의 루트선택에 있어 실패한 구간이었음.

하나는 2번 컨트롤 북쪽의 오솔길을 이용한 루트로 햇으면 하는 아쉬움과 두번째는 계곡을 건넌 후 왼쪽으로 내려와 급경사 능선(60m 등행)을 타고 올랐는데, 이보다는 오른쪽을 따라 가다가 능선의 왼쪽 사면을 따라 접근했더라면 하는 생각임. 이런 구간에서는 경기의 승부처가 되므로 1분 정도를 쉬더라도 효과적인 루트를 충분히 검토한 후 출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됨.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6분 57초

 

(8번->9번->10번)

가까운 거리의 구간으로 방향측정과 등고선 읽기만 제대로 하면 무리없이 찾아낼 수 있는 지역이었음.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23초+1분 12초=1분 35초

 

(10번->11번->12번->13번->골인)

비교적 쉬운 난이도로 결승지점까지 유도하기 위한 구간이었음. 후반부의 주행능력이 승부의 관건이었으나

훈련부족으로 구간기록으로 보면 41명의 참가자 중에 22위에서 35위의 하위권을 기록하였음.

* 베스트 기록과의 차이: 34초+1분 19초+1분 8초+8초=3분 9초

 

미들경기에 비해 비교적 쉬운 난이도의 코스로 체력을 바탕으로 한 주행능력이 필요했던 경기였음. 7->8번 구간에서 루트선택을 제외하면 별다른 실수가 없었던 경기였음을 감안하면 비교적 저조한 성적이었음. 한마디로 준비부족(특히 체력면에서)으로 평할수밖에 없음.

 

 

 

 

구간분석을 보면 5.7km를 7.3km로 달려 30.3%의 루트초과율을 보이고 있는데, GPS기록을 측정한 이후 최고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음. 페이스는 9.53분으로 지난해 한국선수권대회 이후 두번째로 빠른 속도로 레이스를 펼친 것으로 나왔음. 이는 1.5km 정도의 도로구간이 포함되어 있어서 양호한 수치가 나온 것으로 판단됨.

3번, 8번, 11번이 50% 이상의 루트 초과율을 보이고 있는데 8번에서 상위권 평균치인 12분대로 기록했더라면

8위 정도의 순위에 들 수 있었으므로 아쉬움이 많이 남아있는 경기였음.

 

 

(참고자료-누룽지의 지난경기 기록)

아시아선수권 롱(2010년 5월, 일본 아이치현): 루트초과율 30.3%, 페이스 9분 53초(등행비율 4.30%)

아시아선수권 미들(2010년 5월, 일본 기후현): 루트초과율 32.8%, 페이스 11분 7초(등행비율 3.38%)

4월 친선경기(2010년 4월, 의직부 직동): 38.5% 페이스 14분 37초(등행비율 6.47%)

3월 친선경기(2010년 3월, 도봉산): 루트초과율 47.9%  페이스 12분 8초(등행비율 8.19%)

한국선수권대회(2009년 12월, 포항 흥해): 루트초과율 40.7%  페이스 8분 13초(등행비율 2.69%)

부산대회(2009년 10월, 이기대해상공원): 루트초과율 37.5%  페이스 10분 10초(등행비율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