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지형과 계절에 대한 기술 및 장비의 요구사항은 오리엔티어링의 가장 흥미로운 측면 가운데 하나이다. 이벤트의 조직과 오리엔티어링의 기본은 일관되게 유지되지만 상황에 따라 변화와 적응이 필요하다. 다음 요약은 특정 상황에 필요한 몇 가지 수정사항을 나타낸다.
11.1 오리엔티어링 시즌(Orienteering Seasons)
■ 봄(Spring)
봄철에는 봄비로 인해 물과 관련된 특징물이 강조된다. 습지는 연못으로, 개울은 강으로, 일부 함몰지는 물로 채워지며, 일부 작은 길은 개울이 된다. 잎사귀가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 가시성이 좋고, 많은 조밀한 지역이 달릴 수 있다. 날씨는 보통 시원하며, 찬비가 올 가능성이 더 크다. 또한 비계절적으로 더운 날에 주의해야 한다. 몸이 열에 적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특히 몸이 허약한 사람과 연장자에게 위험할 수 있다.
날씨가 계속되면 오리엔티어링은 훌륭하다. 지도 읽기 기술과 지형을 최대한 멀리 볼 수 있는 것은 프리미엄이다. 녹색 지역은 종종 달릴 수 있기 때문에(지형이 허용되는 경우) 루트 선택은 더 직접적인 경향이 있다. 장비 요구 사항은 추위에 대한 속옷, 장갑 및 모자가 포함될 수 있다. 발 디딤은 가끔 진흙투성이이며 고급 오리엔티어는 스파이크를 착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 여름(Summer)
잎이 만발하고 녹색 지역은 진한 녹색이다. 가시성이 감소하여 방향 및 지도 읽기 기술에 중점을 둔다. 매우 뜨거웠다면 마른 연못과 습지가 낮은 함몰지로 나타나므로 물의 특징물이 감소되었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달리기에 탁월하며 루트 선택에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 많은 들판이 경작되거나 매우 높은 풀이나 잡초로 되어 있다. 둘 다 통행 가능한 루트로 선택되면 오리엔티어링 속도를 방해한다.
덥고 습한 날씨에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위험할 수 있다.
훈련하고 경기할 때 물을 많이 마신다. 장비에는 밝은 색상의 오리엔티어링 슈트 또는 밝은 색상의 긴팔 티셔츠가 포함될 수 있다.
■ 가을(Autumn)
잎이 줄어들고 가시성이 향상되지만 많은 녹색 영역은 여전히 조밀하다. 루트 선택은 향상된 가시성을 반영해야 하며 오리엔티어링 속도가 증가한다. 날씨는 보통 매우 쾌적하고 오리엔티어링은 훌륭하다. 장비 요구사항은 표준이다.
11.2 지형과 식생(Terrain and Vegetation)
■ 경사면, 언덕이 많은 지형(Steep, Hilly Terrain)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컨투어링(Contouring), 위에서 공격하기, 처음에 오르기, 경사면에서 아래로 또는 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방향을 잡는 것이다. 탐색을 위해 식생, 바위 및 지형 세부사항과 같은 고유한 특징물을 찾는다. 루트 선택이 더 중요하고 지형을 돌아다니는 루트가 많을 수 있다. 증가된 물리적 구성요소로 인해 피로와 잘못된 결정에 주의한다. 엄지나침반은 오르막을 오를 때 나무를 잡을 수 있는 자유를 준다.
뒤꿈치와 아치(Arch) 지지대가 좋은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상급 오리엔티어는 스파이크를 착용할 수 있다. 물집이 들기 쉽다면 발에 테이프를 붙인다. 이 지형은 발목에도 부담이 되므로 약하다면 테이프를 붙인다.
■ 평평한 지형(Flat Terrain)
여기는 방향과 거리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네비게이션을 위한 특징물로 뚜렷한 초목, 길, 물의 세부사항 및 작고 독특한 세부사항(구덩이, 바위, 작은 봉우리)을 찾는다. 에이밍 오프(Aiming off)가 중요하다. 자신의 목적지가 너무 짧거나 지형이 매우 개방된 경우 너무 멀리 달리면 실수가 발생한다. 루트 선택은 식생이 허용하는 경우 가능한 한 직선이다. 발 디딤이 좋다면 달리는 지면도 좋다. 스파이크를 위한 훌륭한 지형이다.
■ 조밀한 식생(Dense Vegetation)
루트 선택이 주요 고려사항이다. 조밀한 식생에서는 주행속도가 크게 감소하므로 가능하면 피한다. 이로 인해 직접적인 루트로부터 멀어지는 루트 선택이 발생할 수 있다. 길, 개방된 숲 및 들판을 찾는다. 울타리와 같은 선으로 된 세부사항은 식생을 탐색할 수 있고 자신의 루트 선택이 녹색을 통과해야하는 경우 따라가는 데 유용하다.
조밀한 지역에서는 더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다. 일부 밀집된 식생은 매우 뚜렷하며 내비게이션을 위한 특징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보통의 슈트 위에 오리엔티어링 바지를 추가로 입으면 가시덤불에 스치므로 각반(Gaitor)이 여기에 적합하다. 끈은 단단히 묶어야한다. 테이핑을 권장한다.
■ 세부사항이 거의 없는 점진적인 경사면(Gradual Slopes with Few Details)
여기에서는 위에서 공격하고 에이밍 오프가 핵심 고려사항이다. 직접적인 루트가 일반적이다. 전략은 임의의 장소에 위치함으로써 실수했을 경우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것이다. 경사면의 작고 독특한 세부사항이 눈에 띄는 캐칭 피쳐가 된다. 특히 나침반의 경우 더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다.
■ 바위가 많은 지형(Rocky Terrain)
바위 특징물이 많기 때문에 지도 제작자는 지도에 가장 뚜렷한 바위 세부사항만 표시할 가능성이 높다. 다른 지도에 나타나는 특징물은 가장 큰 바위와 절벽만을 위해 무시될 수 있다. 절벽에 있는 컨트롤은 일반적으로 절벽 발치에 있다. 그러나 때로는 꼭대기 또는 두 절벽 사이에 위치한다. 자신의 설명표를 확인한다.
혼잡한 바위 세부사항이 엄청나게 많으면 검은 색 아래에 숨겨진 등고선을 읽고 뚜렷한 지형상의 특징물을 파악한다. 루트 선택은 우회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절벽은 만만치 않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절벽이 있는 가파른 언덕의 경사면을 내려갈 때 주의한다; 일반적으로 발 디딤이 좋지 않다. 발목을 조심한다. 테이핑을 권장한다. 스파이크는 위험 할 수 있지만 일부 상급 오리엔 티어는 스파이크가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 개방된 지형(Open Terrain)
오리엔티어링은 일반적으로 컨트롤에 직접적으로 가는 것이다. 지도 읽기 및 지형에서의 관찰이 강조된다. 더 빠른 달리기 속도로 인해 피로해질 수 있으므로 실수에 주의한다. 여기에서는 작은 실수도 중요한 실수가 될 수 있다; 가시성이 높기 때문에 실수 가능성은 줄어든다.
방향을 지속적으로 주의 깊게 관찰한다. 코리더 오리엔티어링(Corridor Orienteering)과 에이밍 오프는 멀리서 보이는 핸드레일과 캐칭 피쳐에 가깝게 방향을 조정하지 않도록 수정한다. 주의 사항-개방된 지형에서 테크닉과 스킬에 부주의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엉성하게 하지 않는다.
……………………………………요약(SUMMARY)………………………………………
1. 모든 계절과 지형에 대해 최선의 오리엔티어링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별한 기술, 전략 및 장비가 있다.
2. 더운 날씨에는 충분한 수분 공급(물을 많이 마신다)과 밝은 색의 옷이 필요하다. 추운 날씨에는 속옷, 장갑 및 모자가
필요할 수 있다.
3. 숲이 봄과 가을에 식생이 적을 때, 루트는 일반적으로 지형에 따라 더 직접적이다.
4. 조밀한 식생과 평평한 지형에서는 방향이 더 중요하다.
5. 개방된 지형과 경사면에서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정밀도가 필요하다.
'오리엔티어링 기술과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성공적인 출발 및 도착 (0) | 2020.09.20 |
---|---|
9. 다른 경기자 이용하기 (0) | 2020.09.20 |
10. 장비 및 의류 (0) | 2020.09.20 |
12. 기술과 전략의 통합 (0) | 2020.09.20 |
13. 여기서부터 어디로 (0) | 202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