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침반은 방향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 지도 읽기의 중요성에 비해 오리엔티어링에 대한 적용은 제한적이다. 나침반은 수정 구슬(crystal ball)이 아닌 내비게이션 보조 도구이며 이를 사용하는 오리엔티어에게만 유효할 뿐이다.
3.1 오리엔티어링 나침반
오리엔티어들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유형의 나침반 중 하나를 사용한다.
- 각도기 나침반(Protractor Compass)
- 엄지 나침반(NorCompass or Thumb Compass)
둘 다 자북을 가리키는 자침이 있는 나침반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이동 화살표의 방향은 가고자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나침반을 몸 앞에서 허리 높이로 잡고 이동 화살표의 방향이 자신의 몸에서 떨어진 쪽을 향하도록 한다. 나침반을 읽기 전에 자침을 자리 잡게 한다.
3.2 북쪽으로 방향잡기(Orienting to North)
오리엔티어링 나침반으로 가장 먼저 하고자 하는 것은 북쪽을 찾는 것이다. 지도 읽기를 위해 지도는 항상 “북쪽을 향해야” 한다. 지도의 자북선 북쪽 끝이 나침반 자침의 빨간 색(북쪽) 끝과 정렬되면 지도의 방향이 지정된다. 나침반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항상 자신의 몸과 동일한 위치에서 잡는다. 그러나 지도는 항상 북쪽을 기준으로 잡는다. 즉,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하면 지도를 돌리면서 몸을 움직여야 한다. 이것은 지도에서 자신의 손잡이를 변경하여 전체 시간 동안 북쪽을 향하도록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초급자 코스는 지도 방향 지정을 제외하고 나침반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계획된다. 지도의 방향이 지정되면 지형의 북쪽과 지도상의 북쪽이 정렬된다. 지도는 항상 북쪽을 향해야 한다.
3.3 나침반으로 방향 정하기(Taking a Bearing)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의 방향을 정하는 것을 마스터한 후 배워야 할 다음 기술은 나침반으로 방향을 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지도에서 가져온 방향을 결정하고 따르는 데 사용되는 더 향상된 나침반 기술이다.
■ 각도기 나침반(Protractor Compass)
1단계: 지도에 나침반을 놓고 원하는 이동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진행선의 방향)를 정렬한다.
2단계: 하우징의 선이 지도상의 자북선(북-남 선)과 일치할 때까지 나침반 하우징을 돌린다. 하우징 선과 자북선의
북쪽 끝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3단계: 몸의 중심선 앞에 허리 높이로 나침반을 수평으로 잡는다. 나침반 자침이 하우징 라인과 정렬될 때까지 몸을
돌린다. 자침의 빨간색 끝과 하우징 라인의 북쪽 끝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진행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직진한다.
■ 엄지 나침반(Thumb Compass)
1단계: 엄지나침반의 끝부분을 현재 위치에 놓고 가고자 하는 지도상의 방향을 가리킨다.
2단계: 나침반을 수평으로 잡고 나침반 자침이 자북선과 정렬될 때까지 몸을 돌린다. 자침의 빨간색 끝과 자북선의
북쪽 끝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진행화살표 방향을 따라 직진한다.
3.4 내게 가장 좋은 나침반은?
각 나침반에는 장점과 단점이 있지만 적절히 사용하면 둘 다 좋은 방향을 제공한다.
■ 각도기 나침반 Vs 엄지 나침반
• 북쪽으로 향하기 - 어느 나침반을 사용하든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각도기 나침반은 양손을 사용해야 한다.
• 방향 정하기 - 각도기 나침반을 사용하면 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특히 달릴 때 뛰어난 솜씨가 필요하다.
자침 오리엔티어링(Needle Orienteering)은 방향 정하기를 취하는 단순화된 버전이다. 자침으로 방향을 조정하는 데
양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엄지나침반과 마찬가지로 각도기 나침반을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다. (단순화 섹션
참조) 엄지나침반으로 방향 정하기는 지도와 나침반을 하나의 단위로 함께 사용되어서 매우 빠르다. 표준 나침반에
필요한 몇 개의 단계가 생략되었다.
• 대략적인 방향 정하기(Lough Bearing)의 정확도 - 두 나침반 모두 동일하다.
• 정밀한 방향 정하기(Precision Bearing)의 정확도 – 각도기 나침반이 더 정확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린다.
엄지나침반은 미끄러질 수 있고, 방향을 정할 때 세부사항을 가릴 수 있다.
• 지도 읽기 - 각도기 나침반을 사용하면 엄지손가락으로 지도를 읽을 수 있다. 엄지나침반의 끝은 엄지손가락으로
지도를 읽는 데 사용되지만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지도 세부사항을 가릴 수 있다.
일부 오리엔티어는 엄지나침반이 번거롭고 잡는 것이 어색하다고 불평한다. 다른 오리엔티어들은 각도기
나침반으로 방위를 잡고 따라가는 것을 불편해 한다. 엄지나침반의 좋은 기능은 가파른 오르막에서 나무와 같은
지형의 물체를 잡기 위해 한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각도기 나침반은 두 손이 필요하다.
하나는 나침반용이고 다른 하나는 지도용이다. 둘 다 시도해보고, 가장 편안하고 작동하기 쉬운 것을 사용한다.
나침반 선택은 개인적인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3.5 나침반 기술 연습
■ 집에서 연습하기
코스가 포함된 지도 한 무더기를 가지고 북쪽을 찾고 각 지도의 방향을 정한다. 그런 다음 각 레그에 대해 나침반으로 방향을 정한다. 각 기술에 필요한 단계를 중요시한다. 그러나 방향 정하기의 정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형에서 학습을 완성해야 한다.
■ 지형에서 연습하기
▶ 북쪽으로 향하기(ORIENTING TO NORTH)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북쪽으로 유지하면서 지형을 걷는 것으로 시작한다. 가장 먼저 선택하는 지형은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산책로, 도로, 들판을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조깅하는 동안 그리고 마지막으로 달리는 동안 지도 방향을 잡는다. 지형을 변경하여 난이도를 높인다. 주요 산책로와 들판을 벗어나 오픈된 삼림 지대를 횡단한다. 다음으로 어려운 지형으로 간다.
라인 오리엔티어링은 지도의 방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훌륭한 나침반 연습이다. 초급자 라인은 방향 변경이 거의 없으며 주요 핸드레일(길, 울타리, 들판)을 따라 개방되고 쉬운 지형을 횡단한다. 중급 및 상급 라인은 많은 방향 변경과 지형 난이도를 증가시킨다.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측정하려면 훈련 지역에 대한 킬로미터 당 시간(시간에 따른 길이)을 결정한다. 진행을 서두르지 않도록 주의한다. 시리즈의 다음 기술을 시도하기 전에 각 기술을 잘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나침반으로 방향 정하기(TAKING A BEARING)
다음 코스에 대한 걷기, 조깅, 달리기 진행 지침을 따른다;
• 대략적인 나침반(Rough Compass): 긴 레그(500~1000 미터). 컨트롤은 길의 굽은 곳 및 연결점과 같은 큰 캐칭
피쳐(Catching Feature)가 있는 초급 수준의 난이도이다. 루트에는 핸드레일이 없으므로 나침반 기술에 중점을 둔다.
• 정밀한 나침반(Precision Compass): 짧은 레그(300미터 미만). 컨트롤을 위한 작은 특징물, 세부사항이 거의 없는
직진 루트. 초급자 코스는 캐칭 피쳐(Catching Feature)에 배치된 컨트롤을 사용한다.
■ 요령(Tips)
자신의 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특징물을 얼마나 빨리 찾는 것인가이다. 그것들을 직접 찾으면 아주 잘하고 있는 것이다.
• 몸의 중심선 바로 앞에 나침반을 잡는다. 한쪽 편으로 잡고 있으면 자침을 읽는 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나침반을 수평으로 잡고 자침을 보기 전에 몇 초 동안 자리를 잡게 한다. 이렇게 하면 나침반을 보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더 정확한 방향을 제공한다. 또한 자침이 자리 잡는 것을 보는 동안 나무와 다른 물체에 부딪히지
않도록 유의한다.
• 나침반에 너무 많이 의존하지 않는다. 나침반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만 유효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지도를 먼저 읽는다.
• 줄을 이용해서 각도기 나침반을 손목에 단단히 고정한다. 엄지나침반은 엄지손가락에 부착되어 있다. 안전을 위해
손목에 여분의 줄을 준비한다.
• 경사면에서는 나침반을 사용하는 데 매우 주의한다. 경사면을 ‘내려가는(Fall Down)’것은 놀랍도록 쉽지만 여전히
같은 방향 선을 유지해야 한다. 이로 인해 자신의 목적지 근처에서 한쪽으로 벗어나게 된다.
3.6 지도와 나침반을 함께 사용하기
지형으로 방향을 정할 수 있고, 지도만 사용하여 전체 코스를 오리엔티어링할 수 있다. 나침반으로는 똑같이 할 수 없다. 나침반을 사용할 때마다 지도 읽기를 지원해야 한다. 이 지침을 따르면 나침반을 사용하고 오리엔티어링을 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오리엔티어가 지도 읽기 및 전술에 신경 쓰지 않고 나침반만으로 탐색하려고 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고급 오리엔티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나침반 기술을 가장 능숙하게 수행하는 사람이 나침반만 사용했을 경우 방위가 상당히 정확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나침반을 사용할 때
나침반을 사용한다.
• 지도 읽기 능력이 부족하고 올바른 코스를 유지하기 위해 좋은 방향이 필요한 경우.
• 지형이 특징물과 핸드레일이 거의 없는 경우 : 예를 들어 들판, 평평한 지형, 그리고 길게 점진적인 경사면과 들판.
• 울창한 식생, 악천후(안개 또는 비) 또는 흐린 날 숲의 어둠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는 경우.
• 유사한 특징물(길, 능선, 골짜기)을 가로지르는 긴 레그에서는 속도를 늦추고 모든 특징물을 읽을 필요가 없으므로
지형을 빠르게 가로질러 방향을 맞추기 위해 나침반을 사용한다.
• 짧은 레그 또는 뚜렷한 특징물(어택 포인트)에서 컨트롤 특징물까지 레그의 마지막 부분에서, (a)지도 세부사항이
적고 좋은 방향이 필요하거나 (b) 세부사항이 너무 많은 경우, 모든 것을 읽으면 오리엔티어링이 느려질 것이다.
• 지도 방향을 유지한다. 방향을 자주 확인한다; 잘못된 방향으로 뛰어나가기 쉽다.
• 길을 따라갈 때 올바른 길에 있고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확인한다.
• 지형에서 뚜렷한 특징물을 통과할 때 방향을 다시 확인한다.
■ 지도를 읽을 때
지도는 항상 읽는다. 결정을 하고 전략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지도를 읽는다. 나침반 사용은 전략 중 하나이다. 지도를 자주 읽으면 지도와의 접촉이 늘어난다. 항상 지도를 읽으면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항상 알 수 있다. 나침반의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지도 읽기가 잘 되더라도 좋은 백업 절차이다. 초급자의 경우 최소 1분에 한 번씩 방향을 확인한다.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자주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 지도 읽기 및 나침반 기술 테스트
(a) 오리엔티어링 코스에 대한 시간은 자신의 기술 수준을 나타내는 좋은 척도이다. 킬로미터 당 시간을 분:초 단위로
계산한다(코스 거리를 완료하는 데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
(b) 테스트 코스를 활용한다. 테스트 코스는 다음과 같이 계획된다.
• 특징물이 없는 지형 - 긴 레그
• 특징물이 없는 지형 - 짧은 레그
• 세밀한 지형 - 긴 레그
• 세밀한 지형 - 짧은 레그
• 낮은 가시성(녹색) - 긴 레그
• 낮은 가시성(녹색) - 짧은 레그
• 경사면
하나 또는 여러 요소로 테스트 코스를 달린다. 자신의 시간을 기록한다.
• 조밀한 지형에서 방향을 잃을 경우 더 정밀하게 사용해서, 방향을 잡고 조심스럽게 방향을 따라간다. 시야가
줄어들거나 나침반 사용에 방해가(나무 가지 또는 두꺼운 식생) 되기 때문에 모든 것을 느리게 해야 할 수도 있다.
• 모든 레그에서 나침반을 세심하게 사용하고 오류가 거의 없다고 해도, 나침반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사람보다 시간이
느리다면, 레그에 특징물이 너무 명확해서 내비게이션을 위한 최소한의 나침반이 필요하거나 전혀 필요하지 않았을
수 있다.
• 방향을 맞출 때 항상 한쪽으로 빗나가게 되면 다음 두 가지 중 하나를 수행 할 수 있다.
- 나침반을 자신의 바로 앞이 아니라 한쪽 편으로 잡고 있기 때문에 잘못 읽는 경우. 나침반을 올바른 위치에서 잡고
수정한다.
- 지형(덤불, 예를 들면)에서 마주 치는 장애물 주변에서 항상 같은 쪽을 향하는 경우. 장애물을 중심으로 선택한
루트를 번갈아 가며 수정하거나, 장애물의 가장자리를 지난 후 직선 노선으로 되돌아오도록 특별히 주의하여
수정한다.
• 대략적인 나침반을 실행하지만 컨트롤 근처에서 정밀도가 좋지 않으면, 정밀한 나침반에 충분한 시간을 들이지 않아
컨트롤을 찾는 것이 너무 불안해질 수 있다. 필요한 정밀 오리엔티어링을 위해 속도와 나침반 조작을 조정한다.
• 일반적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지도 세부사항이 거의 없기 때문에 트인 들판을 가로 질러 나침반 방향을 맞추는
것은 어렵다. 들판에 들어가자마자 나침반 방향으로 다른 쪽을 가로질러 바라보고 가로지를 때 목표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유한 특징물(예: 쓰러진 나무)을 선택한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더 빠르게 방향을 잡을 수 있으며 나침반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요약(SUMMARY)
1. 나침반은 오리엔티어링을 위한 중요한 내비게이션 보조 도구이지만 항상 지도 읽기에 의해 지원되어야 한다. 2. 오리엔티어는 각도기 나침반과 엄지나침반을 사용한다. 나침반 선택은 개인 취향에 따라 다르다. 3. 나침반은 지도를 북쪽으로 향하고 방위를 정하여 선택한 루트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4. 집에서의 학습, 지도 걷기, 라인 오리엔티어링 및 나침반 코스는 나침반 기술에 대한 좋은 연습을 제공한다. 5. 나침반은 허리 높이로 몸 앞에서(중심 선) 수평으로 잡는다. 6. 나침반을 보기 전에 몇 초 동안 자침이 자리를 잡게 한다. 이것은 더 빠른 오리엔티어링을 허용하고 장애물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7. 나침반 사용은 특징이 없는 지형, 모두 똑같이 보이는 지형, 가시성이 감소할 때 특히 중요하다. 8. 성공적인 지도 읽기 및 오리엔티어링의 핵심은 올바른 방향과 지도를 바로 놓는 것이다. 나침반은 두 가지 목적에 모두 유용하다. 9. 지도를 자주 읽고 방향 확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보조 도구로서 나침반을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
'오리엔티어링 기술과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오리엔티어링-모험스포츠 (0) | 2020.09.20 |
---|---|
2. 지도 읽기(Map Reading) (0) | 2020.09.20 |
4. 단순화(Simplification) (0) | 2020.09.20 |
5. 루트 선택(Route Selection) (0) | 2020.09.20 |
6. 루트 달리기 (0) | 202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