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리엔티어링 기술과 전략

1. 오리엔티어링-모험스포츠

by 어택포인트 2020. 9. 20.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아웃도어 스포츠 활동 중에서 즐거움, 체력 및 정신적 도전의 독특한 조합으로 오리엔티어링에 필적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오리엔티어링은 선수가 속도, 지구력, 의사결정 및 방향탐색 기술의 동일한 부분을 사용하여 자기 자신 및 지형과 경쟁하는 가장 힘든 국제 스포츠 중 하나이다. 그러나 전 세계 7세에서부터 80세까지의 사람들이 즐기는 레크리에이션 이벤트로서의 흥미진진함을 잃지 않는다.

  오리엔티어링의 매력은 스포츠로서의 엄청난 다양성에 있다. 그것은, 먼저 그리고 항상, 환경 보호론자들과 숲에서 하루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매력 있는 야외 모험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에 지도와 나침반 읽기의 기술적 도전, 그리고 대회 전반에 걸쳐 문제 해결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드는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 하에서 경쟁의 압박(그것들을 수용하도록 선택한다면)이 더해진다.

  오리엔티어들은 경기, 야외생활 기술, 레크리에이션, 피트니스 훈련 또는 친선관계에 대한 시각을 조정하여 스포츠로부터 얻고자하는 것을 그들 스스로 결정한다.

  스포츠의 신체적, 정신적 요구가 거의 똑같이 중요하기 때문에 달리기 능력이 우수한 오리엔티어는 가끔 신체적 능력은 약간 부족하지만 더 나은 기술적 능력을 가진 경기자에 의해 추월당한다. 경기자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력적 속도가 떨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축적된 경험과 기술로 그 손실을 충족할 수 있으므로 오리엔티어링은 진정으로 경쟁력 있는 평생 스포츠 중 하나가 된다  100년 전 오리엔티어링이 시작된 스칸디나비아의 경우는 분명하다. 스웨덴에서 매년 5일간 열리는 O-Ringen 대회에는 모든 연령대와 모든 수준의 경기에 26,0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참여한다.

 

  오리엔티어링의 도전은 자연 그 자체의 변화하는 모습만큼이나 다양하다. 남부의 구불구불한 삼림 지대에서 사용되는 기술 및 테크닉은 Canadian Shield의 울퉁불퉁 한 숲과 습지 또는 유럽의 가파른 산지의 경사면에서 필요한 기술 및 테크닉과 현저하게 다르다. , 더위, 추위, 이른 봄에 잎이 없는 달리기 좋은 가시성, 한여름의 두꺼운 식생 ... 각각의 접근 방식이 있다. 아마도 오리엔티어의 가장 큰 즐거움은 날씨, 지형 및 계절에 대한 강렬한 집중과 함께 제공되는 자연과의 일체감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리엔티어링 선수가 될 계획이 없더라도 이벤트의 기본사항 중 일부를 공부하면 자신의 야외활동을 더 즐기고 그 활동에 더 오래 머물 수 있다. 다른 스포츠에 대한 체력을 향상시키든 가족과 함께 여유롭게 산책하든 관계없이 기술과 전략을 이해하면 즐거움이 증가할 것이다. 이 책의 뒷부분에서 다양한 지형과 상황에 적응하는 데 사용할 몇 가지 기술과 전략을 살펴볼 것이다. 하지만 먼저 실제 오리엔티어링 이벤트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살펴보겠다.

 

  • 오리엔티어링의 목표는 내비게이션 보조 수단으로 간단한 나침반과 지도를 사용하여 지형에서 연속되는 지형지물 사    이로 가장 빠른 루트를 찾는 것이다.

 

  • 오리엔티어링 대회는 일반적으로 울타리, , 들판과 같은 어느 정도 분명한 지형지물이 있는 숲 또는 트인 지역에서 열린다.

 

  • 참가자들은 경기 전에 자신의 코스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출발지점에 도달하면 지정된 순서대로 찾아야 하는 특징물의 연속을 보여주는 특수 오리엔티어링 지도가 제공된다.

 

  • 코스는 참가자의 연령, 성별, 체력 수준 및 경험에 따라 다르다. 초보자, 향상된 초보자, 중급 및 상급 경기자들은 다양    한 길이의 코스에서 다양한 컨트롤 특징물을 달린다. (최근의 혁신은 고령의 상급 경기자들을 위한 더 짧은 코스를 도입한 것이다. 이를 통해 30대 후반, 40대 및 50대 이상 선수의 신체 능력 감소를 반영하지만 추가된 기술적 도전 과제로 보완한다.)

 

  • 주요 이벤트의 경우, 경기 당일에 사용되는 지역과 지도는 오리엔티어에게 일반적으로 새로운 것이다. 그들은 일반적  으로 무엇을 기대해야하는지 종종 알고 있다: 대회 주최자가 제공한 정보로부터 또는 동일하거나 비슷한 지형에서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코스의 길이, 아마도 컨트롤 수, 등행거리, 기술적 난이도의 수준, 그리고 지형의 체력적 특징 등

 

  •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에서와 같이 오리엔티어링은 시차출발을 사용한다. 각 선수는 등록 테이블에서 출발시간이  할당된다. 일반적인 첫 출발 시간은 오전 11시이다. 출발 번호가 22인 경기자는 11:22에 출발하고 6812:08에 출발하는 식이다.

 

  • 출발구역은 일반적으로 이벤트 센터에서 도보로 5분에서 20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색상이 있는 테이프로 표시된 길을 따라 간다. 오리엔티어는 개별 출발시간 몇 분 전에 3개 출발 라인의 첫 번째로 호출된다. 1분 신호음이 울리면 1분 동안 두 번째 라인으로 이동한 다음 코스 지도가 준비되어 있는 마지막 라인으로 이동한다. 출발 신호음이 울리면 오리엔티어는 지도를 가지고 오리엔티어링을 시작한다.

 

  • 각 지도에는 찾아갈 각 컨트롤의 위치에 대한 세부정보가 포함된 설명표가 첨부되어 있다. 컨트롤은 숫자(31, 242     코드로 식별되며 각 컨트롤 특징물에 부착된 컨트롤 플랙에도 표시된다. 컨트롤 코드는 오리엔티어가 올바른 컨트롤을 찾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초급자의 컨트롤 설명은 문자로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중급 및 상급 코스에서는 IOF(국제오리엔티어링연맹)가 정의    한 기호를 사용한다. 다음 그림은 설명표를 읽는 방법을 보여준다.

 

<IOF 컨트롤 설명표>

  • 오리엔티어의 이름과 이벤트 범주가 있는 컨트롤 카드도 지도에 첨부된다. 지도, 컨트롤 설명표 및 컨트롤 카드는 방수 및 찢어짐 방지 플라스틱 케이스에 담겨 있다.

 

  • 지도에서 컨트롤 특징물이 아직 원으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 오리엔티어는 출발시 마스터 맵에서 코스를 신중하게 표   시하는 데 몇 분의 시간을 보낸다.

 

  • 오리엔티어는 간단한 나침반과 상세한 오리엔티어링 지도를 유일한 내비게이션 보조수단으로 사용한다. 항상 자신의   위치를 ​​아는 것이 코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비결이며, 좋은 지도 읽기 기술이 필수적이다.

 

  • 출발지점을 떠난 후 오리엔티어는 첫 번째 컨트롤에 대한 빠르고 안전한 루트를 계획한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 및 대부분의 기타 야외 달리기 대회와는 달리 오리엔티어링은 참가자의 루트를 지정하지 않는다. 사실 오리엔티어링에서 루트 선택은 스포츠의 핵심이자 독특한 매력의 주요 부분이다.

 

  • 각 컨트롤에서 오리엔티어는 먼저 지도와 컨트롤 플랙의 코드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컨트롤은 올바른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2번을 찾다가 컨트롤 3번을 우연히 발견한 오리엔티어는 2번을 찾을 때까지 펀칭을 하지 않아야 한다.

 

  • 컨트롤을 순서대로 찾아다닌 후 오리엔티어는 표시된 루트를 따라 도착구역까지 이동한다.

 

  • 오리엔티어가 결승선을 통과하면 자신의 종료 시간이 기록되고 주최자는 지도에 표시된 출발시간부터 경과된 시간을 계산한다. 최종 결과는 도착구역에 게시된다.

 

  이벤트 설명에서 언급했듯이, 오리엔티어링 이벤트의 루트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 및 달리기의 루트와 달리 주최자가 사전에 정해 놓지 않는다. 자신의 체력, 경험 및 기술에 적합한 루트를 선택하는 것은 각 참가자의 몫이다. 그러나 오리엔티어가 지름길을 택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최상의 루트가 항상 거리 측면에서 가장 짧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오리엔티어가 길을 잃지 않고 가능한 한 빨리 한 컨트롤에서 다음 컨트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승한 오리엔티어는 빠르지만 위험할 수 있는 루트와 더 느리고 안전한 접근 방식의 상대적 장점을 빠르게 평가한 다음 그 결정을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이다. 적절한 기술, 현명한 루트, 승리하는 레이스 전략 및 전술을 선택하는 '이유(Why)''방법(How To)'은 다음 장의 주제이다.

 

 

'오리엔티어링 기술과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엔티어링 기술과 전략(번역)  (0) 2020.09.20
2. 지도 읽기(Map Reading)  (0) 2020.09.20
3. 나침반(Compass)  (0) 2020.09.20
4. 단순화(Simplification)  (0) 2020.09.20
5. 루트 선택(Route Selection)  (0) 2020.09.20